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노동영 서울대 교수 등 공동연구… 단백질 분석기술 개발


최근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유방암은 진행 정도에 따라 수술, 방사선, 호르몬요법, 화학요법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동원된다. 특히 암이 림프절로 퍼지기 시작한 2기 이상의 진행성 유방암에서는 수술 전 전이된 암조직을 줄이기 위해 화학요법을 쓰는 게 보편적이다. 그런데 상당수 환자는 화학요법을 써도 효과가 없어 미리 효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지만 적합한 기술이 없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간단한 피검사만으로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주목된다.


서울대 의대 노동영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명희 박사, 고려대 이상원 교수(화학과), 포스텍 황대희 교수(시스템생명공학부)는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성 유방암의 수술전 항암화학요법의 결과를 혈액을 이용해 예측할 수 있는 단백질 마커를 발굴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구성과는 단백체학 분야의 권위지인 `몰레큘러&셀룰러 프로테오믹스' 10월호에 발표됐다.


수술전 항암화학요법은 대부분 진행성 유방암 환자 치료에 사용되지만 많게는 40% 정도의 환자에서 효과가 없어 한계가 있었다. 수술로만 채취할 수 있는 유방암 조직을 이용해 효과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는 단백질 마커가 제시되긴 했지만 수술이라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해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팀은 복잡한 사전작업 없이 혈액검사만으로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얻기 위해 2005년부터 서울대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28명의 유방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화학요법 효과가 있었던 경우와 없었던 경우로 나눠 혈액 샘플을 확보했다. 이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두 그룹간에 발현 양이 두드러지게 차이나는 단백질을 골라냈다.


이를 위해 복잡한 혈액 샘플로부터 수천개의 단백질을 가려낼 수 있는 분석기법을 개발했다. 또 미 시스템생물학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혈액에서 측정 가능한 단백질의 숫자를 늘릴 수 있는 분석기술을 개발했다.


연구결과 혈액 내의 약물배출, 보체(면역 관련 혈장단백질) 활성, LDL(저밀도지방단백질) 산화와 관련된 여섯 개 단백질의 양이 항암화학요법 효과 여부와 밀접하게 연관됨을 알아냈다. 즉, 화학요법에 사용된 약물의 혈액 내 농도를 감소시키는 단백질의 양이 늘면 효과가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보체활성시스템의 초기 및 말기 반응이 균형을 잃거나, LDL 산화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의 양이 변하면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동영 교수는 "진행성 유방암 환자들이 외과적 수술 없이 혈액 검사만으로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을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안경애기자 naturean@ 

[출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11031020115576500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2
55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40
54 [이상원교수] 증상 없는 ‘조기발병위암’…국내 연구진이 원인 찾았다!(동영상) - 2019.01.14. 관리자 2019.01.15 11906
53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1534
52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109
51 [조민행, 곽경원 교수] 불타는 스마트폰 작별할까…물로 작동하는 배터리 규명 - 2018.11.21. file 관리자 2018.11.22 11594
50 [이광렬 교수] 고려대-KBSI-UNIST,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극촉매 개발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1731
49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042
48 [정광섭 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올해 사이언스펠로십 32명 선발 - 2018.10.26. file 관리자 2018.11.22 11590
47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1934
46 [이광렬교수] 카오스재단, '화학'을 주제로 가을 정기 강연 개최 - 2018.09.19. file 관리자 2018.11.22 11750
45 [김준곤 교수] '주인-손님 전략' 활용해 동물 유래 시알산 분석 - 2018.09.18. file 관리자 2018.11.22 11501
44 [김준곤 교수] 구리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과정 규명 - 2018.08.06 file 관리자 2018.11.22 11420
43 [김종승 교수] 노벨상 후보 도전할 만한 韓 연구자는 '40여명' - 2018.05.14. 관리자 2018.11.22 11705
42 [윤효재 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양애린씨 등 12명에 우수논문상 수상 - 2018.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1721
41 [이광렬교수] 값싸고 효율 30배가량 높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 2018.04.17. file 관리자 2018.11.22 11714
40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4994
39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4
38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79
37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4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