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정광섭 교수 연구팀과 KU-KIST 융합대학원 권영완 연구교수의 공동연구팀이 화학적 합성을 통해 콜로이드 퀀텀닷 내의 전자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혔다.

 

반도체 나노입자인 콜로이드 퀀텀닷은 크기가 10억분의 1 미터(=1 nm 나노미터) 단위의 지름을 가진 나노물질로써 전기적인 성질과 광학적 성질이 물질의 크기에 따라서 크게 변한다. 특히 물질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원자의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와 같이 전자가 위치하는 에너지 준위가 불연속적으로 존재한다.


최근, 퀀텀닷의 자기적 성질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기존에 연구되었던 자성을 가진 퀀텀닷은, 자성을 띠는 불순물 전이금속을 양자점에 주입함으로써 퀀텀닷 자체가 아닌, 불순물로부터 유도되는 자성을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불순물의 주입은 안타깝게도 퀀텀닷의 큰 특징인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 간에 가능한 다양한 에너지 전이‘를 사용할 수 없게 했다. 실질적으로 양자효과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보였기 때문에, 불순물 금속이 없는 조건에서,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컨덕션밴드 내의 에너지 준위에 전자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고, 그 전자의수를 제어하여 자성을 가지게 할 필요가 있었다. 빛이나 전기 등의 외부에너지를 가하지 않기 때문에 컨덕션 밴드에 전자 하나를 안정적으로 있게 하는 것은 콜로이드 퀀텀닷 연구기간인 지난 30여 년 간 발견하지 못했던, 컨덕션밴드 내 정상 상태 홑전자 양자 준위 (Singly occupied quantum state, SOQS)가 된다.

 

이같은 도전적인 문제에 대하여, 정광섭 교수 연구팀은 퀀텀닷 컨덕션밴드 내 가장 낮은 에너지 준위와 두 번째 낮은 준위 사이의 인트라밴드 전이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밴드갭 너머의 에너지 준위의 전자 수 조절에 성공했다.

 

합성단계에서 전자 수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은, 밴드갭 너머 상위 에너지 준위에 전자 개수를 조절하여 콜로이드 퀀텀닷의 광학적/자기적 성질을 실질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양자정보 전달의 매체로 사용 할 수 있는 잉크’ 형태의 콜로이드 나노물질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정광섭 교수는 “SOQS 상태의 콜로이드 물질을 나노물질간의 전자 이동, 스핀 제어기술을 통하여 스핀트로닉스, 비휘발성 메모리, 적외선 광전자소자, 촉매, 양자컴퓨팅 등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부와 한국연구재단 개인연구자지원사업(신진연구),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리서치펠로우), 이공분야 중점연구소지원사업으로 수행됐고 화학·재료·물리·나노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과학지인 ‘Nano Letters’에 올해 2월에 게재됐다.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출처] -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170221105619172769


<관련기사>

고려대,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성공

[출처] -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9924


고려대,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출처] -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6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17
35 [김종승교수] 빛으로 암세포만 표적 치료···광역학치료제 개발 - 2017.06.18. file 관리자 2018.11.22 10577
34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09
33 [조민행교수] 배터리 수명 늘려라! 진화하는 `꿈의 전지` - 2017.04.14. file 관리자 2018.11.21 10598
32 [조민행교수] 이차 전지내 리튬 이온 움직임 실시간 관측 성공 - 2017.03.27. file 관리자 2018.11.21 10680
31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18
»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67
29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에 심경호-김종승-신철 교수 - 2016.12.29. 관리자 2018.11.21 10588
28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75
27 [진정일교수] 나노과학 발전 유네스코 메달 진정일 고려대 석좌교수 수상 - 2016.09.20. file 관리자 2018.11.21 10224
26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43
25 [진정일교수] 한국인 첫 ACS 석학회원 추대 - 2016.01.26. file 관리자 2018.11.21 10245
24 [최동훈교수] 고려대, LG디스플레이 산학협력센터 개소 - 2015.12.02. file 관리자 2018.11.20 10776
23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3
22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2
21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0
20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26
19 [이광렬교수] 나노결정의 아름다움과 쓰임새 - 2015.04.09. 관리자 2018.11.20 11475
18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1
17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09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