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IBS 분자 분광학 연구단 개발

국내 연구진이 민물장어의 형광단백질을 이용해 세포 속 나노구조를 기존보다 8배 더 오래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형광 단백질이 반복적으로 빛에 노출돼 형광이 사라지는 광표백 현상을 극복해 장시간 초해상도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보다 해상도까지 높일 수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이자 고려대 화학과 심상희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법을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심상희 교수는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데 걸림돌이었던 광표백 한계를 극복한 기술"이라며 "이 기술이 향후 장시간 관찰이 필요한 생체 나노구조 파악 및 생명현상 연구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민물장어에서 유래한 형광단백질인 우나지(Unag)가 내부 아미노산이 아닌 외부 대사물질인 빌리루빈을 발광체로 사용한다는 점에 착안해 장시간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법을 고안해냈다.

우나지 단백질과 빌리루빈은 각각 떨어져 있을 때 형광을 발광하지 못하는 물질이지만, 결합하면 밝은 녹색 형광을 내는 형광물질이 된다. 연구진은 우나지-빌리루빈 결합체에 청색광을 쪼이면 광표백에 의해 형광이 꺼지고, 이후 다시 빌리루빈을 처리하면 형광이 되살아난다는 것을 규명했다.

대부분의 형광단백질은 단백질 자체의 아미노산을 발광체로 사용한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빛에 노출되면 단백질의 구조가 손상되며 형광발광이 사라진다. 기존 기술로 형광 동영상을 오랫동안 촬영하면 점차 형광신호 세기가 약해지다가 결국 사라지게 된다.

이후 연구진은 우나지를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에 적용했다. 세포 내 구조에 우나지를 표지하고 청색광을 쪼여 형광을 끈 뒤, 빌리루빈과의 재결합을 통해 일부 우나지만 형광이 켜지도록 조절했다. 이를 통해 세포 속 분자들의 위치를 나노미터 수준의 정확도로 측정해 점묘화 같은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었다.

파이낸셜뉴스 김만기 기자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00204183427526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 [조민행, 곽경원 교수]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핵심 원리 규명 관리자 2021.12.01 293
76 [조민행, 곽경원 교수] 불타는 스마트폰 작별할까…물로 작동하는 배터리 규명 - 2018.11.21. file 관리자 2018.11.22 11596
75 [조민행 교수] 전압 따라 달라지는 물 분자, 펨토초 단위로 첫 포착 관리자 2023.12.28 90
74 [조민행 교수] 세포 식료품 창고 '지질 방울' 물질대사 실시간 관측 성공 관리자 2024.01.29 76
73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file 관리자 2021.06.25 726
72 [조민행 교수] 나노미터 크기 양자점 반도체 성능 저하 새 원인 밝혔다 file 관리자 2021.06.25 303
71 [조민행 교수] 그래핀 두께별 '물 사랑' 바뀐다...IBS, 습윤 특성 분자수준서 관찰 file 관리자 2021.06.25 295
70 [조민행 교수] Interview for Physics World file 관리자 2021.09.02 264
69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15
68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관리자 2020.07.30 3992
67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69
66 [정광섭 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올해 사이언스펠로십 32명 선발 - 2018.10.26. file 관리자 2018.11.22 11592
65 [정광섭 교수] 반도체·금속 성질 모두 갖는 새 나노입자 개발 관리자 2023.11.01 95
64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308
63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관리자 2020.07.30 3630
62 [이상원교수] 혈액검사로 치매 예측한다…국내 대학 연구진 개발 - 2019.09.30. file 관리자 2019.12.18 10129
61 [이상원교수] 증상 없는 ‘조기발병위암’…국내 연구진이 원인 찾았다!(동영상) - 2019.01.14. 관리자 2019.01.15 11907
60 [이상원교수]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 2011.10.30. 관리자 2018.11.19 10657
59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4
58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