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연과학분야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아 고분자과학 연구와 교육 선도적 역할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사진=고려대학교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사진=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는 진정일 명예교수가 국내 과학자로는 처음으로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회(IUPAC) Emeritus Fellow(명예석학회원)’로 추대됐다고 13일 밝혔다.

진정일 명예교수는 액정중합체, 전도성 및 발광성 등 기능성고분자와 DNA 재료 과학 연구에서 세계를 이끌어 왔다. 고분자 재료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논문 400여 편 이상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 1만 건 이상 인용되었으며 많은 학술회에 연사로 참여하는 등 고분자과학 연구와 교육의 세계적 진흥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진정일 명예교수는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회(IUPAC)에 회장(2008·2009년)을 역임했으며, 나노과학과 나노기술 발전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유네스코 나노과학 메달을 받았다.

2013년 과학기술훈장 창조장(1등급) 수훈 외에도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회(IUPAC) 회장, 대한화학회장, 한국고분자학회장, 한국과학편집인협회장, 아시아고분자연합회(FAPS) 창립회장, 영국왕립화학회(RSC) 석학회원, 미국화학회(ACS) 석학회원, 아시아화학연합회 석학회원, 한국과학문화진흥회 회장,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부회장, 한국과학재단 부이사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이사 및 종신회원, 고려대학교 대학원장 및 고려대학교 부총장(권한대행), KU-KIST융합대학원 초대원장 및 KU-KIST융합대학원 석좌교수 등을 역임하며 자연과학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파이낸셜투데이 정진성 기자

[출처] http://www.f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052


  1. No Image 20Nov
    by 관리자
    2018/11/20 by 관리자
    Views 11099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2.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3. [최동훈교수] 고려대, LG디스플레이 산학협력센터 개소 - 2015.12.02.

  4. No Image 19Nov
    by 관리자
    2018/11/19 by 관리자
    Views 9776 

    [최동훈,이석중,이광렬교수] 신개념 메모리ㆍ광센서 소재 개발 - 2011.06.12.

  5. No Image 19Nov
    by 관리자
    2018/11/19 by 관리자
    Views 10869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6. No Image 30Jul
    by 관리자
    2020/07/30 by 관리자
    Views 3321 

    [최동훈 교수] 이종화 교수 등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

  7.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8. [진정일교수] 한국인 첫 ACS 석학회원 추대 - 2016.01.26.

  9. [진정일교수] 진정일 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회장 `과학문화융합탐구마당` 개최 - 2011.11.01.

  10. [진정일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中정부 '중국 우의장' 받아 - 2010.09.28.

  11. [진정일교수] 나노과학 발전 유네스코 메달 진정일 고려대 석좌교수 수상 - 2016.09.20.

  12.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13.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14. [조민행교수] 이차 전지내 리튬 이온 움직임 실시간 관측 성공 - 2017.03.27.

  15. No Image 02Sep
    by 관리자
    2021/09/02 by 관리자
    Views 398 

    [조민행교수] 양자역학 난제 '상보성 원리' 국내 연구진이 검증했다

  16. [조민행교수] 배터리 수명 늘려라! 진화하는 `꿈의 전지` - 2017.04.14.

  17.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18. No Image 21Nov
    by 관리자
    2018/11/21 by 관리자
    Views 10953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19. [조민행교수] 1조분의 1초 이하 시간에 이뤄지는 생체 분자의 구조변화 측정·계산법 개발 - 2010.11.17.

  20. [조민행, 정광섭 교수] QLED 발광효율 향상 방안 찾았다...IBS, '오제 재결합 현상' 제어 원리 규명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