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조민행 교수                                              곽경원 교수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조민행 연구단장팀이 이호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팀과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속 물 분자의 상태와 리튬 이온 수송 속도 사이 상관관계를 규명해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단초를 마련했다고 1일 밝혔다.

리튬이온전지는 가연성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화 가능성이 있어 유기용매를 불이 붙지 않는 물로 대체한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가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성능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공동연구진은 첨단분광기술인 '적외선 들뜸 탐침 분광법'과 '유전체 이완 분광법'을 이용해 염 농도에 따른 수계 전해질 속 물 분자의 거동을 관측했다.

기존에는 초고농도 용매화 환경 속에서는 모든 물 분자가 리튬 염과 상호작용 해 물 분자 간 수소결합이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고 예상해왔다.

연구진이 염 농도를 포화수준까지 높여가며 관측한 결과 28몰랄농도(mol/㎏·용매 1㎏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 농도) 수준의 초고농도에서도 다른 물 분자와 수소결합을 갖는 물 분자가 상당량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다른 물 분자와 수소결합을 하는 물 분자는 리튬 염의 음이온과 수소결합을 하는 물 분자보다 빠른 회전 동역학을 갖는 것을 관찰했다.

회전 동역학이 빠르다는 것은 리튬 이온의 용매화 구조가 빠르게 변화해 리튬 이온이 이동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화 위험 없는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의 핵심원리를 규명했다는 평을 듣는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ACS)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ACS Energy Letters'(IF, 23.101) 온라인판에 지난달 26일자로 게재됐다.(논문명:Dynamic Water Promotes Lithium-Ion Transport in Super-concentrated and Eutectic Aqueous Electrolytes)

제1저자인  IBS 김준규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초고농도 수계 전해질 속 물 분자에 대한 동역학을 분자수준에서 설명한 첫 번째 사례"라며 "적외선 들뜸 탐침 분광법을 적용해 각 물 분자의 수소 결합 파트너를 구분해낼 수 있었기에 가능한 발견"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조민행 연구단장은 "리튬 이온의 수송을 촉진할 수 있는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설계를 위한 원천지식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01_0001671737&cID=10807&pID=108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5
77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4
76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5
75 [최동훈교수] 고려대, LG디스플레이 산학협력센터 개소 - 2015.12.02. file 관리자 2018.11.20 10779
74 [진정일교수] 한국인 첫 ACS 석학회원 추대 - 2016.01.26. file 관리자 2018.11.21 10249
73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54
72 [진정일교수] 나노과학 발전 유네스코 메달 진정일 고려대 석좌교수 수상 - 2016.09.20. file 관리자 2018.11.21 10228
71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79
70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에 심경호-김종승-신철 교수 - 2016.12.29. 관리자 2018.11.21 10590
69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69
68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22
67 [조민행교수] 이차 전지내 리튬 이온 움직임 실시간 관측 성공 - 2017.03.27. file 관리자 2018.11.21 10685
66 [조민행교수] 배터리 수명 늘려라! 진화하는 `꿈의 전지` - 2017.04.14. file 관리자 2018.11.21 10603
65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15
64 [김종승교수] 빛으로 암세포만 표적 치료···광역학치료제 개발 - 2017.06.18. file 관리자 2018.11.22 10579
63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20
62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60
61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82
60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8
59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50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