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조회 수 3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S21120700586.jpg

이광렬 교수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고려대 연구진이 친환경 수소 생산이 가능한 고효율 나노촉매를 개발했다.

 

고려대는 이광렬(사진) 화학과 교수팀이 수전해를 통한 친환경 수소 생산 나노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정유성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팀이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학술지(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게재됐다.

 

수전해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분해, 그린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수전해 성능 향상에는 고효율 산소발생 촉매가 필수적인데 주로 이리듐 산화물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리듐은 높은 가격으로 대체 물질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루테늄 산화물은 이리듐 산화물에 비해 전기화학적 산소발생 반응에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전기화학적 성질이 불안정성한 게 단점이다.

 

이광렬 교수팀은 루테늄 산화물 표면에 소량의 백금을 도입, 이를 산성 전해질의 산소발생 반응용 촉매로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광렬 교수는 “산성 전해질에서 매우 불안정한 루테늄 산화물 표면에 백금을 도입시킨 전략이 기술의 핵심”이라며 “수전해 환경에서 전해질에 쉽게 용출되는 루테늄 물질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금속의 도입을 통해 높은 성능과 동시에 내구성이 좋은 촉매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교수는 “이러한 전략은 기존의 상용 촉매를 대체할 차세대 나노촉매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출처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66566629276224&mediaCodeNo=257&OutLnkChk=Y


  1. [조민행 교수] 그래핀 두께별 '물 사랑' 바뀐다...IBS, 습윤 특성 분자수준서 관찰

    Date2021.06.25 By관리자 Views296
    Read More
  2. [조민행, 곽경원 교수]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핵심 원리 규명

    Date2021.12.01 By관리자 Views296
    Read More
  3. [이광렬 교수] 수소 생산 고효율 나노촉매 개발

    Date2021.12.07 By관리자 Views301
    Read More
  4. [조민행 교수] 나노미터 크기 양자점 반도체 성능 저하 새 원인 밝혔다

    Date2021.06.25 By관리자 Views310
    Read More
  5.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Date2021.10.06 By관리자 Views315
    Read More
  6. [김종승 교수]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플랫폼 개발

    Date2021.09.09 By관리자 Views341
    Read More
  7. [조민행, 정광섭 교수] QLED 발광효율 향상 방안 찾았다...IBS, '오제 재결합 현상' 제어 원리 규명

    Date2022.01.05 By관리자 Views347
    Read More
  8. [김종승 교수]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선정

    Date2022.01.14 By관리자 Views349
    Read More
  9.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Date2021.09.06 By관리자 Views358
    Read More
  10. [조민행교수] 양자역학 난제 '상보성 원리' 국내 연구진이 검증했다

    Date2021.09.02 By관리자 Views418
    Read More
  11.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수 5명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선정 - 2020.11.20

    Date2021.01.26 By관리자 Views451
    Read More
  12.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Date2021.06.25 By관리자 Views529
    Read More
  13.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Date2021.01.26 By관리자 Views530
    Read More
  14. [곽경원 교수] 2차원 분광학 연구자 곽경원 교수가 빠진 실험

    Date2021.06.25 By관리자 Views593
    Read More
  15.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Date2021.06.25 By관리자 Views735
    Read More
  16.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Date2020.10.14 By관리자 Views2066
    Read More
  17. [최동훈 교수] 이종화 교수 등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

    Date2020.07.30 By관리자 Views3322
    Read More
  18.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Date2020.07.30 By관리자 Views3452
    Read More
  19.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Date2020.07.30 By관리자 Views3636
    Read More
  20.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Date2020.07.30 By관리자 Views40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