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조회 수 3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PS21120700586.jpg

이광렬 교수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고려대 연구진이 친환경 수소 생산이 가능한 고효율 나노촉매를 개발했다.

 

고려대는 이광렬(사진) 화학과 교수팀이 수전해를 통한 친환경 수소 생산 나노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유성종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정유성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팀이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에너지·환경 분야 국제학술지(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게재됐다.

 

수전해는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물을 분해, 그린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수전해 성능 향상에는 고효율 산소발생 촉매가 필수적인데 주로 이리듐 산화물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리듐은 높은 가격으로 대체 물질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루테늄 산화물은 이리듐 산화물에 비해 전기화학적 산소발생 반응에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전기화학적 성질이 불안정성한 게 단점이다.

 

이광렬 교수팀은 루테늄 산화물 표면에 소량의 백금을 도입, 이를 산성 전해질의 산소발생 반응용 촉매로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이광렬 교수는 “산성 전해질에서 매우 불안정한 루테늄 산화물 표면에 백금을 도입시킨 전략이 기술의 핵심”이라며 “수전해 환경에서 전해질에 쉽게 용출되는 루테늄 물질에 상대적으로 안정된 금속의 도입을 통해 높은 성능과 동시에 내구성이 좋은 촉매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교수는 “이러한 전략은 기존의 상용 촉매를 대체할 차세대 나노촉매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출처 :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66566629276224&mediaCodeNo=257&OutLnkChk=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 [이광렬교수] 나노결정의 아름다움과 쓰임새 - 2015.04.09. 관리자 2018.11.20 11478
18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7
17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100
16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83
15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19
14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91
13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6
12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file 관리자 2018.11.20 11172
11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file 관리자 2018.11.20 11104
10 [이광렬교수] 고려대 교수팀, 항암제 전달능력 가진 MRI 조영제 개발 - 2013.05.13. file 관리자 2018.11.19 11468
9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47
8 [김정은, 정낙철교수] 고국으로 돌아온 '타미플루 히어로' 제2 인생 - 2013.01.13. file 관리자 2018.11.19 11645
7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관리자 2018.11.19 10871
6 [진정일교수] 진정일 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회장 `과학문화융합탐구마당` 개최 - 2011.11.01. file 관리자 2018.11.19 10455
5 [이상원교수]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 2011.10.30. 관리자 2018.11.19 10658
4 [이광렬교수] 암 조직만 추적하는 新 조영제 개발 - 2011.09.20. file 관리자 2018.11.19 10513
3 [최동훈,이석중,이광렬교수] 신개념 메모리ㆍ광센서 소재 개발 - 2011.06.12. 관리자 2018.11.19 9777
2 [조민행교수] 1조분의 1초 이하 시간에 이뤄지는 생체 분자의 구조변화 측정·계산법 개발 - 2010.11.17. file 관리자 2018.11.19 10787
1 [진정일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中정부 '중국 우의장' 받아 - 2010.09.28. file 관리자 2018.11.19 1026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