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국내 연구진이 점 돌연변이를 활용,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하는 데 성공했다. 

※ 알츠하이머병 :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치매의 유형. 아직 정확한 원인 물질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아밀로이드 베타로 구성된 병원성 아밀로이드 섬유 응집체에 의한 연쇄적인 작용으로 발병된다는 아밀로이드 가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알려졌다.

※ 점 돌연변이 : 단백질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 중 한 개가 바뀐 돌연변이. 본 연구에서는 1개부터 4개까지의 점 돌연변이를 갖는 점 변이체가 사용되었다.

※ 아밀로이드 베타 :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병원성 아밀로이드 섬유 응집체의 주성분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는 신경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김준곤 교수(고려대학교)와 최정모 교수(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아밀로이드 베타의 초기 상호작용을 방해하여 단백질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고 세포 독성을 완화하는 점 변이체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 기존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대증요법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 최근에는 근본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표지 물질인 아밀로이드 베타의 섬유 응집체와 타우 단백질의 신경섬유 엉킴을 표적으로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 타우 단백질 : 아밀로이드 베타와 함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발견되는 주요 표지 단백질로, 신경섬유 엉킴의 주성분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는 타우 단백질의 신경섬유 엉킴과 연관되어있다고 알려졌다.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체를 표적으로 하는 ‘아두카누맙’이 그 효과를 인정받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최근 승인받기도 했다. 

※ 아두카누맙 : 최초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을 표적 하여 증상 완화 효과를 인정받은 항체 치료제. 아밀로이드 베타의 병원성 아밀로이드 섬유 응집체의 구조를 인식해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작용 기전을 갖고 있다.

 

 

고려대 김준곤 교수, 고려대 임동준 학생

 

□ 연구팀은 아밀로이드 베타가 응집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점을 고려하여 특정 상태를 표적으로 하지 않고 단백질의 점 변이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병원성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했다.

□ 그 결과, 아밀로이드 베타 응집 과정에서 초기 상호작용의 핵심이 되는 단백질 영역을 규명하고, 단백질 상호작용을 저해할 수 있는 변이체를 설계하여 실제 응집체 형성이 억제되고 세포 독성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 단백질 구조에 기반한 체계적인 설계를 통해 고안된 변이체를 이용, 병원성 비정형 단백질의 응집 현상을 저해하는 연구 방법론은 아밀로이드 베타뿐만 아니라 알파 시누클레인, 타우 등 다른 단백질의 구조를 이해하고 응집 현상을 제어하는 것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알파 시누클레인 : 알츠하이머병과 함께 치매의 주요 형태 중 하나인 파킨슨병과 연관된 단백질. 파킨슨병 환자의 뇌 병변에서 발견되는 루이 소체 및 루이 신경돌기에서 알파 시누클레인 단백질의 축적 및 응집이 관측된다.

 

아밀로이드 베타(1-42)의 점 변이체를 이용한 야생형 아밀로이드 베타의 응집 현상 억제

아밀로이드 베타(1-42)의 점 변이체(밝은 파란색)를 이용한 야생형 아밀로이드 베타(빨간색)의 응집 현상 억제를 묘사한 그림이다. 왼쪽 위에 응집 현상 억제를 위한 핵심 변이 위치가 노란색으로 표현되어 있다.

 

□ 또한, 이번 연구에서 설계된 변이체가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한다는 사실을 세포 수준에서도 확인했다. 다만, 실제 임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고차원 실험 모델에서의 효과 및 안정성 검증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기초연구실 및 우수신진연구)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1월 24일 게재되었다. 

 

기사 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20213018600063?input=1195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3
76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file 관리자 2018.11.20 11171
75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5
74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54
73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45
72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37
71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file 관리자 2018.11.20 11102
70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099
69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88
68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4
67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53
66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82
65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82
64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79
63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관리자 2018.11.19 10869
62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20
61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8
60 [조민행교수] 1조분의 1초 이하 시간에 이뤄지는 생체 분자의 구조변화 측정·계산법 개발 - 2010.11.17. file 관리자 2018.11.19 10786
59 [최동훈교수] 고려대, LG디스플레이 산학협력센터 개소 - 2015.12.02. file 관리자 2018.11.20 10778
58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