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초과학연구원
양쪽 끝은 금 전극, 왼쪽 전극 옆에는 흡착된 분자, 두 전극 사이에는 물 분자들이 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 IBS 제공.
전극 표면에 있는 극소량의 물 분자를 직접 관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국내 연구팀이 전압에 따라 달라지는 전극 표면의 물 분자 움직임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수전해를 이용한 배터리 개발에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한 연구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민행 분자분광학및동력학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마틴 자니 미국 위스콘신 화학과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전압 변화에 따라 금속 전극 표면의 물 분자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펨토초(1000조 분의 1초) 단위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압에 따라 달라지는 물 분자 움직임을 관찰하는 일은 전기화학적 반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차세대 수전해질 전지 개발을 하는 데 중요하다. 수전해질 전지는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 물을 사용해 인화성이 낮고 폭발 위험이 없으며 유독한 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위험도 낮출 수 있다.

수전해질 전지가 갖는 이러한 장점 때문에 최근에는 전극 표면에 존재하는 물 분자들의 움직임과 전하 운반체 역할을 하는 이온 용매화 에너지 변화, 이온 탈용매화 현상, 산화-환원 반응을 살피기 위한 분광학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는 전극 표면에 극소량 존재하는 물 분자들을 직접 관찰하기 어렵다. 크기가 매우 작은 분자들을 관찰하기 위해 짧은 레이저 광선을 조사한 뒤 분자들이 만들어내는 시그널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는 시분해 분광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물 분자에 의한 신호보다 금속 전극 자체가 만들어내는 신호가 훨씬 커 물 분자 움직임만 측정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금 전극 표면에 정교하게 설계한 화합물을 흡착시켰다. 탐침 분자에 대한 2차원 진동 분광학 측정과 분자 동력학 시뮬레이션을 시행했다. 2차 진동 분광학은 연구 대상 물질에 짧은 레이저 빛을 가한 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2차원 신호를 분석해 분자의 구조와 움직임을 탐지하는 방법이고, 분자 동력한 시뮬레이션은 물질을 이루는 원자 움직임에 대한 운동방정식을 풀어 원자와 분자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이 두 가지 방법을 접목해 물 분자와 금속 표면에 흡착된 유기분자 간의 상호작용인 ‘수소결합’의 구조와 물 분자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찰했다. 이를 통해 전극에 가하는 전압 크기와 부호에 따라 물 분자 움직임이 달라진다는 현상을 처음으로 직접 확인했다. 양의 전압을 가하면 물 분자 움직임이 느려지고, 음의 전압에서는 빨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빨라지는 정도는 전압의 크기에 비례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전극 표면에 존재하는 물의 산화 환원 반응 역시 물 분자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 단장은 “전기화학반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 연구 결과”라며 “향후 수전해질을 이용한 배터리 개발과 응용에 필요한 물리화학적인 통찰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게재될 예정이다.
조민행 IBS 분자분광학및동력학연구단 연구단장(왼쪽)과 곽기정 연구원(공동저자). IBS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김준곤 교수] 인천창업카페 명사 힐링 특강 [ 먹고 마시는 모든것] 관리자 2021.11.05 248
75 [김준곤 교수] 점 돌연변이를 활용,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하는 데 성공 관리자 2022.05.16 216
74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51
73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7
72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518
71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3
70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3451
69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353
68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524
67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1536
66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046
65 [윤효재 교수] 세계 최초 절연 분자 이용 열에너지 전기 변환 신소재 개발 가능 발견 관리자 2021.09.02 285
64 [윤효재 교수] 유기금속 분자사슬의 높은 지벡계수 메커니즘 규명 관리자 2024.03.11 27
63 [윤효재 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양애린씨 등 12명에 우수논문상 수상 - 2018.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1725
62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5002
61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3
60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5
59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1935
58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116
57 [이광렬 교수] 게으른 자를 위한 수상한 화학책 관리자 2024.04.02 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