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지웅 (고려대학교, 제1저자), 조정우 (고려대학교, 공동 제1저자), Tatsuhiko Ohto(나고야대학교, 공동교신저자), 윤효재 (고려대학교, 교신저자)

장지웅 (고려대학교, 제1저자), 조정우 (고려대학교, 공동 제1저자),

Tatsuhiko Ohto(나고야대학교, 공동교신저자), 윤효재 (고려대학교, 교신저자)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윤효재 교수 연구팀이 분자를 이용해 폐열을 전기로 바꾸는 고성능 열전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 특히, 열전 성능을 평가하는 지벡 계수(Seebeck coefficient)가 분자열전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으로 높은 값을 보이는 유기금속분자사슬을 발견하였고 관련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https://pubs.acs.org/doi/full/10.1021/jacs.3c14012)에 2월 8일자 온라인 게재됐다.

 

-기로 바꾸는 열전현상은 친환경 에너지원이 될 수 있으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분자처럼 그 크기가 매우 작은 물질에서 우수한 열전현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미세전자소자 구동 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나노스케일 에너지 소자를 개발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더불어, 분자에 의한 열전현상을 이해하는 연구는 분자 내 전하수송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초연구가 될 수 있다.

 

윤효재 교수팀은 전기화학 방법을 이용해 전극 표면에 분자사슬을 합성했다. 이때 루테늄(Ru) 기반의 유기금속분자 사슬을 형성(그림 1)하면 매우 높은 지벡계수에 도달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10 nm 두께의 분자사슬에서 1000 μV/K이 넘는 지벡계수를 측정했으며, 이 값은 분자열전학에서 널리 연구되는 유기분자들의 값보다 대략 100배 높다.

 

높은 지벡계수를 달성가능하게 해주는 전하의 이동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연구의 학문적 가치를 더했다. 일반적으로 분자에서의 전하 이동은 양자역학적 터널링(tunneling) 혹은 호핑(hopping) 방식으로 일어난다. 분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일반적인 분석법으로는 두 메커니즘을 구분짓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전류측정이 아닌 지벡계수 측정을 통해 두 메커니즘을 보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일본 나고야대학의 Tatsuhiko Ohto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양자계산을 진행했고 유기금속분자사슬의 높은 지벡계수는 호핑이 아닌 터널링, 특히 ’유사공진 터널링(near-resonant tunneling)‘에 의해 가능함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개인기초연구사업, 중점연구소지원사업,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출처 : 뉴스티앤티(http://www.newstnt.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20
38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83
37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63
36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21
35 [김종승교수] 빛으로 암세포만 표적 치료···광역학치료제 개발 - 2017.06.18. file 관리자 2018.11.22 10580
34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16
33 [조민행교수] 배터리 수명 늘려라! 진화하는 `꿈의 전지` - 2017.04.14. file 관리자 2018.11.21 10604
32 [조민행교수] 이차 전지내 리튬 이온 움직임 실시간 관측 성공 - 2017.03.27. file 관리자 2018.11.21 10686
31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23
30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70
29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에 심경호-김종승-신철 교수 - 2016.12.29. 관리자 2018.11.21 10591
28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83
27 [진정일교수] 나노과학 발전 유네스코 메달 진정일 고려대 석좌교수 수상 - 2016.09.20. file 관리자 2018.11.21 10229
26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56
25 [진정일교수] 한국인 첫 ACS 석학회원 추대 - 2016.01.26. file 관리자 2018.11.21 10250
24 [최동훈교수] 고려대, LG디스플레이 산학협력센터 개소 - 2015.12.02. file 관리자 2018.11.20 10780
23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6
22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5
21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6
20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4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