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News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촌상]진단+치료 동시에… 암정복 나선 김종승 고려대 교수


김종승교수.jpg



“개인적으로 크나큰 영광이다. 연구팀 모두가 지난 10여 년간 한 분야만 연구한 결과를 인정해 주신 거라고 생각한다. 암과 싸우며 고통당하는 환자들에게 공헌할 방법을 찾기 위해 더욱 더 노력하겠다.”

동아일보가 매년 수상하는 ‘인촌상’ 과학·기술 부문 수상자로 김종승 고려대 화학과 교수(54)가 꼽혔다. 김 교수는 암세포에만 약물을 정확히 전달하면서도 그 과정을 직접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 연구로 세계 화학계에서 주목하는 연구자다.

그의 오랜 연구가 집약된 결과는 세계적 화학저널인 미국화학회지(JACS)지 8월호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암세포를 치료할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약물전달 복합체를 유기화학합성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다. 그의 논문에는 표지 논문 중에서도 우수한 논문에 붙는 ‘주목할 논문(Spotlight)’이라는 표식이 붙었다. 김 교수는 “암 세포에만 항암제를 실어 나를 배를 만든 것으로, 모든 항암제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암에 걸린 사람에게 항암제 치료는 필수다. 그러나 정상세포까지 공격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빠지고 구역질이 나는 등의 부작용이 적지 않다. 부작용이 월등히 적은 표적치료제도 있지만 효과를 볼 수 있는 암 종류는 적다.

김 교수의 연구는 박사과정 시절인 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에는 각종 가스나  병원균 등을 화학적으로 찾아내는 ‘화학센서’를 연구했다. 그러다가 10여 년 전 이런 탐색 기술을 의학에도 적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아예 암세포를 추적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자는 아이디어를 냈다”고 말했다. 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테라그노시스’ 개념을 적용한 연구를 국내에서 처음 시작한 것이다. 테라그노시스는 치료를 뜻하는 ‘테라피(Therapy)’와 진단을 의미하는 ‘다이어그노시스(Diagnosis)’의 합성어다.

암세포를 추적하고 약물을 전달하는 표적치료 물질에 대한 성과는 2012년부터 조금씩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미국화학회지에 표지논문과 주목할 논문으로 관련 기술들을 잇달아 발표했다. 그는 암세포에만 약물을 전달하는 방식과 함께 형광물질로 약물이 전달되는 과정을 육안으로도 살필 수 있는 방법도 개발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했다.

2012년 당시에는 암세포를 추적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의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지만 5년이 지난 올해에는 그 약물전달 물질을 유기화학합성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데도 성공한 것이다. 연구는 곧 실용화 단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 교수는 “5년 안에 임상실험을 종료하고, 10년 후에는 상용화까지 끝마쳐 병원에서 환자치료에 쓸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기사원문 :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196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 박종식 박사, 경기대 조교수 임용 file 관리자 2020.08.25 3712
92 김가현(석박사통합과정생), 2020 춘계 대한화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4 3148
91 이기성 박사, 박사 후 국내연수 과제 선정 file 관리자 2020.09.01 2976
90 하덕찬 교수 연구진, '2020년 팁스 (TIPS) 선정' file 관리자 2020.08.12 2875
89 정상민(석박사통합과정생), 2020 춘계 대한화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3 2717
88 이현주(석사과정생), 2020 춘계 대한화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3 2550
87 최동선(석박사통합과정생), 2020 춘계 대한화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4 2543
86 최동선(석박사통합과정생), nanoGe internet conference for Quantum Dots(iCQD)에서 우수발표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4 2480
85 김종승 교수, 2020 대한화학회 학술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4 2415
84 김가현(석박사통합과정생), IMID 2020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9.16 2248
83 2020년도 1학기 BK21플러스 화학인재양성사업단 우수대학원생 선정 file 관리자 2020.10.16 1895
82 윤효재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에쓰오일 차세대과학자상 수상 file 관리자 2023.12.05 1837
81 권태현 박사, 인천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임용 file 관리자 2022.06.30 1724
80 이기성 박사, 국민대학교 조교수 임용 file 관리자 2021.03.11 1694
79 윤효재 교수, 2021 Thieme Chemistry Journals Award 수상자 선정 file 관리자 2020.11.23 1667
78 동방선 박사, 서강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임용 file 관리자 2023.02.13 1564
77 진정일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돼 관리자 2020.10.14 1443
76 진하늘 박사, 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조교수 임용 file 관리자 2022.08.09 1413
75 박소현 박사, 성신여자대학교 화학에너지융합학부 조교수 임용 file 관리자 2023.06.28 1406
74 윤효재 교수 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 file 관리자 2021.12.09 134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