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New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선진의료 11개국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고려대, 국제암유전단백체컨소시엄 정식회원 가입

 

이상원 교수, 조 바이든 전 부통령

▲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장 이상원 교수(왼쪽), 조 바이든 전 부통령(오른쪽)

 

 

 

고려대가 국제암유전단백체컨소시엄(International Cancer Proteogenome Consortium, ICPC)의 정식 회원으로 가입됐다.

 

 

ICPC는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재임시절 시작한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프로젝트를 국제 수준으로 확장한 컨소시엄이다. ICPC는 암연구의 시급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높이고, 전 세계 암유전단백체 연구자들간의 협력과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를 통한 암연구 가속화를 지향한다.

 

 

캔서 문샷은 국가적 지원을 통해 암의 예방과 조기 발견, 치료제 개발을 달성하겠다는 취지로 시작됐다. 인류가 달에 착륙한 일에 필적하는 혁신적인 도전이란 의미에서 따온 이름으로, 뇌암으로 장남을 잃은 조 바이든(Joe Biden) 전 미국 부통령이 주도하고 있다.

 

 

세계적 암질환 정밀의료 개발의 핵심 데이터는 환자별 유전체 및 단백체 데이터이며, 미국 최대 다부처 정밀의료 사업인 APOLLO는 미군폐암환자 6000명의 유전단백체 통합데이터를 환자 유래 종양시료로부터 생산하여,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기술의 개발과 지식기반 구축을 목표하고 있다.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 (the Center for ProteoGenome Research, CPGR)는 미국 국립암연구원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의 유전단백체 연구센터인 CPTAC(the Clinical Proteomic Tumor Analysis Consortium)과 “임상유전단백체 암연구(Clinical Proteogenomics Cancer Research)”에 대한 MOU를 체결했고, 이를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지난달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있었던 세계단백체기구(HUPO) 초청 글로벌 리더십 갈라 디너에서 발표해 고려대의 가입을 공식화했다. 이로써 한국은 기존회원인 KIST와 함께 두 기관을 ICPC 회원기관으로 보유하게 되어 암 유전단백체연구를 주도할 수 있게 되었다.

 

 

고려대는 향후 미국, 독일, 일본, 호주 등 11개국 21개 기관과 유기적인 협력 하에 위암, 췌장관세포암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센터장 이상원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포스트게놈 다부처유전체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7년부터 췌장암 치료불응성 예측기술개발 연구와 이를 위한 췌장암 유전단백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팀 남상헌(kize@korea.ac.kr)


기사 원문 : http://www.korea.ac.kr/user/boardList.do?boardId=135&siteId=university&page=1&id=university_060102000000&boardSeq=479896&command=albumView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3 정지은(박사과정생), ICS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and Technology of Synthetic Metals) 2018에서 Best Poster Award 수상 file 관리자 2018.10.25 10746
212 정지은(박사과정생), ICS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and Technology of Synthetic Metals) 2018에서 Best Poster Award 수상 file 관리자 2018.10.08 10343
211 정지은(박사과정생), 2017 추계 고분자학회 연구논문 발표회 구두(영어)부문 우수논문발표자 선정 file 관리자 2018.04.30 13265
210 정준영 석박통합과정생, 2017년 대한화학회 제199회 춘계학술발표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17.04.24 18955
209 정주연 석사과정생, 2017년 한국다우케미칼 최우수논문상 수상 file 관리자 2017.04.17 14370
208 정성훈 (석사과정생), 2022 추계 고분자학회 학술발표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file 관리자 2022.10.25 398
207 정상연 (통합과정생), ICAE 2023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3.11.20 410
206 정상민(석박사통합과정생), 2020 춘계 대한화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0.08.13 2717
205 정봉영 명예교수 대한화학회 공로상 수상 관리자 2016.04.27 18187
204 정명훈 (석사과정) 2024 춘계 대한화학회 IUPAC 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4.05.16 157
203 정광섭 교수, 2019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신진교수 선정 file 관리자 2018.10.30 10562
202 정광섭 교수 홈페이지 링크 관리자 2015.03.27 31436
201 정광섭 교수 대한화학회 KCS-Wiley 젊은 과학자상 수상 file 관리자 2021.10.22 466
200 정광섭 교수 Chemical Communications 저널 2024년 Pioneering Investigator로 선정 관리자 2024.04.24 392
199 정광섭 교수 Chemical Communcations 저널 2018년 Emerging Investigator로 선정 file 관리자 2018.07.04 12750
198 전지예 대학원생 ‘2017년도 고대여성화학인 네트워크 장학금’ 수혜자로 선정 file 관리자 2017.03.30 16301
197 전소연 박사, 2023 추계 대한화학회 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 file 관리자 2023.11.13 293
196 장호겸 교수님을 떠나 보내며 관리자 2016.07.12 23067
195 장지웅 (석박사통합과정생), 2022 춘계 대한화학회 학술발표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file 관리자 2022.05.12 377
194 임창수 박사와 정효성 박사 올해의 우수박사학위논문상 수상 관리자 2014.08.18 2202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