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서울의대·고려대·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연구팀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몸 속 내장 지방이 분비하는 신호물질 변화가 당뇨병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1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최성희·박경수 교수와 고려대 화학과 이상원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황대희 교수가 참여한 연구팀은 당뇨병 진단을 받은지 5년이 넘지 않은 초기 당뇨환자와 정상인의 내장지방 신호물질 차이를 분석, 당뇨병과 직접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6가지 신호물질을 찾아냈다.

이들 물질의 역할은 주로 ▲ 지방세포의 크기 조절 ▲ 유리지방산의 산화 및 연소 지원 ▲ 인슐린 신호전달체계 및 인슐린 작용의 증가·저해 등과 연관된 것이었다.

따라서 연구진은 내장 지방 신호물질의 변화 때문에 당뇨병 발병 초기부터 환자들은 지방조직의 에너지원인 지방산을 스스로 산화하는 기능이 떨어지고, 인슐린 신호전달 체계가 교란되며, 결국 지방세포의 크기 조절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추정했다.

최성희 교수는 "내장지방 증가로 복부 비만이 심해지면 당뇨 뿐 아니라 각종 대사증후군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 커진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병 초기 내장지방에서 분비되는 신호물질 변화를 규명했고, 이 결과는 당뇨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조기 치료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학술지 '미국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회지(Molecular&Cellular Proteomics)' 3월호에 실렸다.

shk999@yna.co.kr
[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83780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65
39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5
38 [이상원교수]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 2011.10.30. 관리자 2018.11.19 10658
37 [이상원교수] 증상 없는 ‘조기발병위암’…국내 연구진이 원인 찾았다!(동영상) - 2019.01.14. 관리자 2019.01.15 11908
36 [이상원교수] 혈액검사로 치매 예측한다…국내 대학 연구진 개발 - 2019.09.30. file 관리자 2019.12.18 10131
35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관리자 2020.07.30 3636
34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316
33 [정광섭 교수] 반도체·금속 성질 모두 갖는 새 나노입자 개발 관리자 2023.11.01 101
32 [정광섭 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올해 사이언스펠로십 32명 선발 - 2018.10.26. file 관리자 2018.11.22 11594
31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71
30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관리자 2020.07.30 4021
29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17
28 [조민행 교수] Interview for Physics World file 관리자 2021.09.02 266
27 [조민행 교수] 그래핀 두께별 '물 사랑' 바뀐다...IBS, 습윤 특성 분자수준서 관찰 file 관리자 2021.06.25 296
26 [조민행 교수] 나노미터 크기 양자점 반도체 성능 저하 새 원인 밝혔다 file 관리자 2021.06.25 310
25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file 관리자 2021.06.25 735
24 [조민행 교수] 세포 식료품 창고 '지질 방울' 물질대사 실시간 관측 성공 관리자 2024.01.29 83
23 [조민행 교수] 전압 따라 달라지는 물 분자, 펨토초 단위로 첫 포착 관리자 2023.12.28 98
22 [조민행, 곽경원 교수] 불타는 스마트폰 작별할까…물로 작동하는 배터리 규명 - 2018.11.21. file 관리자 2018.11.22 11598
21 [조민행, 곽경원 교수]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핵심 원리 규명 관리자 2021.12.01 296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