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빛으로 암세포만 표적 치료···광역학치료제 개발

종양 표적률 향상···암 재발 한계 극복


종양을 선택적으로 표적해 치료하면서 암 재발 가능성도 낮춘 새로운 표적치료법이 제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김종승·김종훈 고려대 교수, 이진용 성균관대 교수, 조나단 세슬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광역학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광역학치료는 인체에 무해한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한 암 치료법으로 수술, 방사선 치료, 화학요법 등에 비해 부작용이나 후유증이 적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암세포의 선택성이 낮아 정상세포에 손상을 유발하거나, 재발 가능성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연구팀은 이에 종양만 찾아 가면서 암세포가 추가적으로 증식할 수 없도록 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광역학치료제를 개발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부위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고 종양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치료제를 전달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학계에 알려진 혈관생성억제 물질인 아세타졸아미드가 암세포에 과발현되어 있는 탄산탈수소효소9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강력하게 상호 결합한다는 특성을 이용해 암세포 표적화를 유도했다.

개발된 광역학치료제를 사람의 유방암 세포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 투여한 결과, 아세타졸아미드가 없는 치료제에 비해 4배 이상 종양의 부피가 감소했으며, 특별한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 치료제가 암 혈관 형성 억제 효과가 있다는 것을 규명됐다. 암 조직은 성장할수록 저산소 상태가 유발되어 스스로 생존을 위해 많은 영양분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암세포는 암 조직으로 영양분을 더 유입시키기 위해 신생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인자들을 분비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치료제를 투입한 결과, 암 신생혈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단백질인 혈관내피성장인자A(VEGFA)와 혈관신생단백질2(ANGPT2)가 치료 후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종승 고려대 교수는 "암세포의 선택적 치료와 치료 후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암 신생혈관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면서 "현재까지 초기 임상단계 수준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향후 약물의 체내 동태, 인체에서 안전성 평가 등의 후속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지원사업 등으로 수행됐으며,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지난 7일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사진.jpg


표적지향형 광역학치료제의 치료 메커니즘과 동물실험 결과.<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헬로디디 강민구 기자

[출처] - http://hellodd.com/?md=news&mt=view&pid=61859


<관련기사>


빛 쪼여 암 치료하고 표적 치료에 증식 억제까지

[출처] -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75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41
19 [이광렬교수] 나노결정의 아름다움과 쓰임새 - 2015.04.09. 관리자 2018.11.20 11478
18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7
17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100
16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83
15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19
14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91
13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6
12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file 관리자 2018.11.20 11172
11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file 관리자 2018.11.20 11104
10 [이광렬교수] 고려대 교수팀, 항암제 전달능력 가진 MRI 조영제 개발 - 2013.05.13. file 관리자 2018.11.19 11468
9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47
8 [김정은, 정낙철교수] 고국으로 돌아온 '타미플루 히어로' 제2 인생 - 2013.01.13. file 관리자 2018.11.19 11646
7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관리자 2018.11.19 10871
6 [진정일교수] 진정일 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회장 `과학문화융합탐구마당` 개최 - 2011.11.01. file 관리자 2018.11.19 10455
5 [이상원교수]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 2011.10.30. 관리자 2018.11.19 10658
4 [이광렬교수] 암 조직만 추적하는 新 조영제 개발 - 2011.09.20. file 관리자 2018.11.19 10513
3 [최동훈,이석중,이광렬교수] 신개념 메모리ㆍ광센서 소재 개발 - 2011.06.12. 관리자 2018.11.19 9777
2 [조민행교수] 1조분의 1초 이하 시간에 이뤄지는 생체 분자의 구조변화 측정·계산법 개발 - 2010.11.17. file 관리자 2018.11.19 10787
1 [진정일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中정부 '중국 우의장' 받아 - 2010.09.28. file 관리자 2018.11.19 1026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