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려대-KBSI-UNIST,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극촉매 개발


 고려대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오아람, 백현석 박사)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주상훈 교수, 김호영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연구팀이 백금-니켈-루테늄으로 구성된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산성전해질 수전해 반응의 전극촉매로 활용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활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다중 원소로 구성된 합금 나노입자에서의 상분리 유도 기술을 통해 백금-니켈-루테늄으로 구성된 코어-이중쉘 정이십면체 나노입자를 합성했고 이중수차보정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나노입자의 구조와 조성을 명확하게 규명했다. 그리고 산처리 및 열처리를 통해 니켈과 루테늄이 도핑된 백금 코어와 백금과 니켈이 도핑된 루테늄 뼈대 껍질구조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나노입자를 완성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입자 촉매는 산성계 산소발생반응에서 기존 상용 이리듐 촉매 대비 15배가 증가한 촉매 활성도를 보였다. 또한 10시간 이상의 장기 구동에서 상용 이리듐 촉매는 40%의 초기 성능만 유지한 반면, 신규 촉매는 90%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여 높은 내구성을 보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촉매는 뼈대 구조를 지녀서 값비싼 귀금속 촉매의 사용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높은 촉매 활성면적을 보임과 동시에 루테늄-백금-니켈 세 원소의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수전해 반응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활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 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KBSI 서울 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최고 수준의 고공간 분해능(60pm) 투과전자현미경 분석기술을 통하여 프레임형 나노입자의 형성 원리를 규명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광렬 고려대 교수는 “이 기술의 상용화를 위하여 촉매의 대량 생산 기술, 촉매의 안정적인 구동시간 연장 등의 추가 연구를 추진 중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이종 원소 도핑에 의한 불안정한 금속 산화물의 촉매 활성과 안정성 증대 효과에 관한 아이디어를 다양한 에너지/환경 기술관련 촉매 시스템에 적용하여 현재 급속히 나빠지고 있는 환경 문제 해결에 일조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주상훈 UNIST 교수는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새로운 촉매의 촉매 활성 및 안정성 증진 근본 원리를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 이라고 밝혔다.


사진.jpg



 해당 연구결과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사업 및 KBSI의 자체사업을 통하여 도출됐으며, 나노/화학/재료과학기술 분야의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10월 2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베리타스알파 김하연 기자

[출처] - http://m.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3807#_enlip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 [진정일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中정부 '중국 우의장' 받아 - 2010.09.28. file 관리자 2018.11.19 10267
99 [조민행교수] 1조분의 1초 이하 시간에 이뤄지는 생체 분자의 구조변화 측정·계산법 개발 - 2010.11.17. file 관리자 2018.11.19 10791
98 [최동훈,이석중,이광렬교수] 신개념 메모리ㆍ광센서 소재 개발 - 2011.06.12. 관리자 2018.11.19 9780
97 [이광렬교수] 암 조직만 추적하는 新 조영제 개발 - 2011.09.20. file 관리자 2018.11.19 10517
96 [이상원교수]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 2011.10.30. 관리자 2018.11.19 10661
95 [진정일교수] 진정일 과학문화교육단체연합회장 `과학문화융합탐구마당` 개최 - 2011.11.01. file 관리자 2018.11.19 10459
94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관리자 2018.11.19 10874
93 [김정은, 정낙철교수] 고국으로 돌아온 '타미플루 히어로' 제2 인생 - 2013.01.13. file 관리자 2018.11.19 11651
92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50
91 [이광렬교수] 고려대 교수팀, 항암제 전달능력 가진 MRI 조영제 개발 - 2013.05.13. file 관리자 2018.11.19 11472
90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file 관리자 2018.11.20 11108
89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file 관리자 2018.11.20 11176
88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9
87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96
86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23
85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86
84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104
83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71
82 [이광렬교수] 나노결정의 아름다움과 쓰임새 - 2015.04.09. 관리자 2018.11.20 11481
81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