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진.jpg


 고려대는 화학과 윤효재 교수 연구팀과 한국외국어대학교 물리학과 김태경 교수 연구팀이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에 기반한 순수 유기 다이오드 분자를 개발하여 2차 슈타르크 효과(the second-order Stark effect)를 화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이 가능함을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한국연구재단 지원(나노소재기술 개발사업, 도전형소재기술 개발프로그램)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는 재료/나노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중 하나인 나노레터스 (Nano Letters, impact factor : 12.712) 12월 24일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탄화수소에 기반한 새로운 다이오드(diode)를 개발하고 핵심 메커니즘을 슈타르크 효과(Stark effect)에 기반하여 설명했다.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에 기반한 순수한 유기 다이오드 분자를 개발했고, 740mV에서 최대 1.7x102의 큰 정류비를 유도했다. 분자전자공학에서 분자의 전자 구조의 변화에 따른 소자의 성능을 제어하는 것은 핵심 연구 주제 중 하나이다. 분자전자소자에서는 거의 모든 분자들이 특정한 전기장에 노출되는데, 전기장 하에서 분자의 전자 구조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소자의 성능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번 연구에서는 PAH 작용기의 구조적 단순성과 콘쥬게이션 길이(conjugation length)를 변화시킴에 따라 전자 구조를 체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분자 구조와 전기장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했다. 액체 금속 기반의 대면적 정션(junction) 기술을 이용하여 높은 수율로 대량의 데이터를 특정하여 통계적인 해석을 가능케했다. PAH 작용기 중 나프탈렌(naphthalene) 기반의 분자에서 슈타르크 효과(Stark effect)에 따른 최외각 분자 오비탈 에너지 준위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비대칭적인 에너지 개형이 소자 내에 형성되어 ~102에 가까운 정류비(rectification ratio)가 관측됐다. 분자 다이오드에 관련된 앞선 많은 연구들이 정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자의 구조와 연관 짓는 것이 어려웠던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단순하고 체계적인 분자 구조 변화를 통해 분자의 에너지 레벨 변화에 따른 슈타르크 효과와의 연관성을 규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화학적인 방법으로 슈타르크 효과를 체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기능성 분자 소자를 설계하고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베리타스알파 김하연 기자

[출처] -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9535


고려대-한국외대 연구진 슈타르크 효과 기반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출처] - https://www.korea.ac.kr/user/boardList.do?boardId=474633&siteId=university&page=1&search=&column=&boardType=02&listType=&id=university_060108000000&parent=&boardSeq=484460&command=albumView&chkBoxSeq=&chkBoxId=&chkBoxPos=&chkBoxDepth=&chkBoxFamSeq=&warningYn=N&categoryId=&categoryDepth=&totalYn=&searchDate1=&searchDate2=


고려대·한국외대 연구진, 슈타르크 효과 기반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출처] - http://m.mk.co.kr/news/headline/2018/813289#mkmai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83
59 [이광렬교수] 카오스재단, '화학'을 주제로 가을 정기 강연 개최 - 2018.09.19. file 관리자 2018.11.22 11752
58 [이광렬교수] 암 조직만 추적하는 新 조영제 개발 - 2011.09.20. file 관리자 2018.11.19 10513
57 [이광렬교수] 나노결정의 아름다움과 쓰임새 - 2015.04.09. 관리자 2018.11.20 11478
56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6
55 [이광렬교수] 고려대 교수팀, 항암제 전달능력 가진 MRI 조영제 개발 - 2013.05.13. file 관리자 2018.11.19 11468
54 [이광렬교수] 값싸고 효율 30배가량 높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 2018.04.17. file 관리자 2018.11.22 11717
53 [이광렬, 최동훈 교수] 획기적으로 수명 개선한 고효율 고안정성 딥블루 코어쉘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재 개발 관리자 2023.06.08 137
52 [이광렬 교수] 화학이 선물하는 생활의 꼼수…건강하고 안전하게 관리자 2024.05.31 4
51 [이광렬 교수] 한눈에 읽는 신간 관리자 2023.12.28 73
50 [이광렬 교수] 판형 입자 휘어지는 정도 조절하는 신개념 나노입자 합성방법론 개발 관리자 2023.01.31 131
49 [이광렬 교수] 탄소중립 수소연료 생산 위한 고성능·반영구 전극 촉매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266
48 [이광렬 교수] 탄소 배출 없는 그린 수소 생산, 차세대 신촉매 소재로 새로운 길 열다 관리자 2024.02.21 49
47 [이광렬 교수] 카오스재단, ‘2023 노벨상 해설 강연’ 개최 file 관리자 2023.11.27 86
46 [이광렬 교수] 수소 생산 고효율 나노촉매 개발 file 관리자 2021.12.07 301
45 [이광렬 교수] 대한민국은 의사·학원 공화국? 기초과학 없이 미래 없다 관리자 2024.06.19 4
44 [이광렬 교수] 기초과학 학술단체들, 18일 기초과학 교육 위기 주제 포럼 관리자 2024.06.13 2
43 [이광렬 교수] 고려대-KBSI-UNIST,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극촉매 개발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1734
42 [이광렬 교수] 고려대, 올해 기초연구사업 ‘최다 선정’ 관리자 2023.06.22 142
41 [이광렬 교수] 게으른 자를 위한 수상한 화학책 관리자 2024.04.02 33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