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연령 40세 안팎의  비교적 젊은층에 생기는 위암을 '조기발병위암'이라고 합니다.
최근 증가 추세인데, 증상이 거의 없는데다 진단마저 힘들어  사망률이 높은 상황인데요,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유전단백체 분석법으로 발병 원인을 밝혀냈습니다.
차정인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전체 위암 환자의 15% 정도를 차지하는 조기발병위암.
진단은 어렵고  진행 속도가 빨라 치료가 어렵습니다.
더 큰 문제는  원인 파악이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덩어리 형태의 암 조직이 아니라, 위 점막 아래 넓게 퍼져 있는 일명 '미만형'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조기발병위암의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습니다.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와  국립암센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  공동 연구진이 이뤄낸 성괍니다.
최근 5년간 환자 80명의 암 조직과 주변 정상조직을 얻어 '유전체'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진은 환자들로부터 채취한 7천여 개의  체세포 변이 유전자 중에서 조기발병위암과 관계있는 변이 유전자 3개를 찾아냈습니다.
환자의 유전자가  몸속의 단백질과 어떤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지를  입증한 겁니다.
또 '단백체' 연구를 통해 조기발병위암 환자들의 치료 반응 특징을 4가지로 분류했습니다.
이에 따라  암 발견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에 적합한 치료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포스트 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암 연구분야 유명 학술지 '캔서셀' 온라인 판에 오늘 게재됐습니다.
 KBS 뉴스 차정인입니다.


KBS 뉴스

[출처] - https://youtu.be/GiDbv4_fzp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123
39 [이광렬 교수] "욕실 물때·부엌 기름때 없애려면..." 화학과 교수의 초간단 청소법 관리자 2024.06.04 32
38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1940
37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9
36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62
35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5010
34 [윤효재 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양애린씨 등 12명에 우수논문상 수상 - 2018.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1732
33 [윤효재 교수] 유기금속 분자사슬의 높은 지벡계수 메커니즘 규명 관리자 2024.03.11 37
32 [윤효재 교수] 세계 최초 절연 분자 이용 열에너지 전기 변환 신소재 개발 가능 발견 관리자 2021.09.02 291
31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053
30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1541
29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534
28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362
27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3455
26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80
25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533
24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24
23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69
22 [김준곤 교수] 점 돌연변이를 활용,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하는 데 성공 관리자 2022.05.16 231
21 [김준곤 교수] 인천창업카페 명사 힐링 특강 [ 먹고 마시는 모든것] 관리자 2021.11.05 25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