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박성남교수.jpg

[박성남 교수 연구팀]

 

 

1.png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활용도가 높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활용 물질의 특성을 6만3000배 빠르게 예측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OLED 소자용 발색분자와 형광분자 개발 시간·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18일 박성남 고려대학교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발색분자와 형광분자 등 다양한 유기분자의 광특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딥러닝 분자 분광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광특성이란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특성으로 물질의 색과 관련된다.

 

발색·형광분자는 염료, 태양전지, OLED, 형광센서, 바이오이미징 분야에 쓰인다. 이를 개발시 흡·발광파장, 반치폭(흡·발광 스펙트럼 최대폭의 절반), 발광양자효율(분자의 빛 흡수량 대비 방출량 비율), 흡광계수(분자의 빛 흡수도) 등 광특성을 예측해야 한다. OLED용 발광분자는 색, 밝기, 선명도, 에너지전환 효율 등 OLED로서 중요한 광특성을 결정해야 한다.

산업계는 이를 위해 이론 기반의 양자화학계산을 사용해 왔다. 그런데 박 교수 연구팀에서 개발된 딥러닝 분자 분광법은 기존 방법보다 6만3000배 빠르게 광특성을 예측하면서, 흡광·발광 파장 예측 정확도 역시 2.2배·1.5배 높여 준다. 이 딥러닝 분자 분광법은 목적별 광특성을 만족하는 발색분자와 형광분자를 빨리 찾도록 도와 개발시간과 비용을 덜어 준다.

 

2.png

 

 

박 교수 연구팀은 문헌에 보고된 분자의 7가지 광특성을 수집해 3만여개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여기에 분자구조와 광특성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모델을 개발했다. 설계에 필요한 분자구조 광특성을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딥러닝 분자 분광법을 개발했다.

 

딥러닝 분자 분광법은 분자의 흡·발광 파장, 흡·발광 반치폭, 흡광 계수, 발광양자효율, 발광수명 등 7가지 광특성을 정확하고 빠르게 예측해 준다. 딥러닝 모델은 분자와 주위 환경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는 분자의 광특성을 포함해 분자 광특성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해낸다. 분자가 용액상, 박막, 고체상, 기체상인지 여부에 따른 광특성도 예측한다.

 

연구팀은 "신규 발색분자와 형광분자 개발시 목적에 맞는 광특성을 가진 분자를 찾기까지 많은 후보를 개발하고 합성해 광특성을 확인한다"며 "목적에 맞지 않는 후보분자 확인시 개발비용과 시간이 크게 소모되는데, 딥러닝 분자 분광법으로 설계에 필요한 분자가 요구하는 광특성 보유여부를 합성 전에 알수 있어 연구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 JACS Au'에 18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정준영 연구교수와 한민희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제1저자, 박성남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연구진들은 딥러닝 분자 분광법을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웹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일환이다.

 

출처 : 아주경제(https://www.ajunews.com/view/202103172323296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1
75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3
74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4
73 [최동훈교수] 고려대, LG디스플레이 산학협력센터 개소 - 2015.12.02. file 관리자 2018.11.20 10777
72 [진정일교수] 한국인 첫 ACS 석학회원 추대 - 2016.01.26. file 관리자 2018.11.21 10247
71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49
70 [진정일교수] 나노과학 발전 유네스코 메달 진정일 고려대 석좌교수 수상 - 2016.09.20. file 관리자 2018.11.21 10227
69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77
68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에 심경호-김종승-신철 교수 - 2016.12.29. 관리자 2018.11.21 10589
67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68
66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21
65 [조민행교수] 이차 전지내 리튬 이온 움직임 실시간 관측 성공 - 2017.03.27. file 관리자 2018.11.21 10682
64 [조민행교수] 배터리 수명 늘려라! 진화하는 `꿈의 전지` - 2017.04.14. file 관리자 2018.11.21 10601
63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13
62 [김종승교수] 빛으로 암세포만 표적 치료···광역학치료제 개발 - 2017.06.18. file 관리자 2018.11.22 10577
61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19
60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54
59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79
58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4
57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500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