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연구팀 "알파-시누클린·구리 응집체, 신경세포로 쉽게 유입"


사진.jpg

(A) 구리 이온은 알파-시누클린 N-말단과 히스티딘 잔기를 통해 결합해 거대고리 구조를 만든다.

(B) 구리 이온이 알파-시누클린과 함께 작용하는 조건에서 단백질 섬유 길이는 짧아진다.

(C·D) 거대고리 구조는 알파-시누클린 단량체 사이 상호작용으로 핵 형성을 촉진하지만, 구조적 변형이 제한돼 신장을 방해한다.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한국연구재단은 김준곤 고려대 교수·이민재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뇌 속 구리 이온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 원리를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퇴행성 뇌 질환의 하나다.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면서 몸의 움직임이 둔해지는 운동 장애가 발생한다.


 뇌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이 응집된 뒤 신경세포에 유입되면서 독성을 일으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알파-시누클린 응집이 잘 발생하는 뇌의 흑질 부분에 구리 이온이 다른 부분보다 많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자구조 연구와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 등을 다각적으로 진행했다.


사진1.jpg

(A∼C) 구리 이온에 의해 생긴 짧은 알파-시누클린 섬유(녹색)가, 긴 형태의 섬유보다 세포에 더 많이 전달된다

.(D·E) 전달된 알파-시누클린 섬유가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한다.(F) 짧은 알파-시누클린 섬유 형성과정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연구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는 알파-시누클린 단량체가 결합해 섬유 핵을 형성한다.


여기에 다른 단량체가 이어지면서 긴 섬유 형태를 이룬다.


반면에 구리 이온이 알파-시누클린 단량체와 합쳐지면 거대고리 구조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구조적인 뒤틀림 때문에 길게 자라지 못하고 짧은 섬유가 형성된다.


짧은 알파-시누클린·구리 응집체는 신경세포 안으로 쉽게 유입된다.


그 결과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해 신경독성을 유발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의 다양한 응집체 중에서 구리 이온과 결합한 응집체가 강한 신경독성을 일으키는 과정을 확인한 건 연구팀이 처음이다.


연구팀 관계자는 "구리 이온이 파킨슨병 원인 물질을 발생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자와 세포 수준으로 밝혀낸 것"이라며 "세포의 금속이온 항상성을 조절하는 퇴행성 뇌 질환 치료 방법 연구에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2.jpg

왼쪽부터 고려대 김준곤 교수, 서울대 이민재 교수, 고려대 최태수 연구조교수(논문 제1저자)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대학 중점연구소지원사업 등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앙게반테 케미(Angewante Chemie) 지난달 16일 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walden@yna.co.kr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80309144000063


<관련기사>


구리 이온이 파킨슨병 원인 물질 발생

[출처]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14914&code=11132000&cp=nv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조민행, 곽경원 교수]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핵심 원리 규명 관리자 2021.12.01 290
75 [조민행, 곽경원 교수] 불타는 스마트폰 작별할까…물로 작동하는 배터리 규명 - 2018.11.21. file 관리자 2018.11.22 11594
74 [조민행 교수] 전압 따라 달라지는 물 분자, 펨토초 단위로 첫 포착 관리자 2023.12.28 74
73 [조민행 교수] 세포 식료품 창고 '지질 방울' 물질대사 실시간 관측 성공 관리자 2024.01.29 63
72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file 관리자 2021.06.25 718
71 [조민행 교수] 나노미터 크기 양자점 반도체 성능 저하 새 원인 밝혔다 file 관리자 2021.06.25 297
70 [조민행 교수] 그래핀 두께별 '물 사랑' 바뀐다...IBS, 습윤 특성 분자수준서 관찰 file 관리자 2021.06.25 293
69 [조민행 교수] Interview for Physics World file 관리자 2021.09.02 263
68 [정광섭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우수논문상 수상작 발표 - 2017.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0713
67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관리자 2020.07.30 3972
66 [정광섭교수] 고려대 연구팀 공동연구로 콜로이드 퀀텀닷 내 전자개수 조절 통한 자성 제어 성공 - 2017.02.21. 관리자 2018.11.21 10568
65 [정광섭 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올해 사이언스펠로십 32명 선발 - 2018.10.26. file 관리자 2018.11.22 11591
64 [정광섭 교수] 반도체·금속 성질 모두 갖는 새 나노입자 개발 관리자 2023.11.01 81
63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303
62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관리자 2020.07.30 3622
61 [이상원교수] 혈액검사로 치매 예측한다…국내 대학 연구진 개발 - 2019.09.30. file 관리자 2019.12.18 10127
60 [이상원교수] 증상 없는 ‘조기발병위암’…국내 연구진이 원인 찾았다!(동영상) - 2019.01.14. 관리자 2019.01.15 11906
59 [이상원교수] 유방암 `화학요법 효과` 피검사로 예측 - 2011.10.30. 관리자 2018.11.19 10655
58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3
57 [이상원교수] 고려대, 11개국 기관과 손잡고 암 정복 나선다 - 2017.10.11. file 관리자 2018.11.22 1075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