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제학술지 ‘케미컬 사이언스’ 1월호 표지 이미지. 세포 내 지질 방울에서 다양한 효소들에 의해 지방산이 중성 지질로 합성되는 과정을 표현했다. IBS 제공.
세포 ‘식료품 창고’인 지질 방울에서 중성 지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게 됐다. 질병 진단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민행 분자분광학및동력학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살아있는 세포에서 지질 방울 내 물질대사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지질 방울은 세포들이 영양분을 축적하는 작은 세포기관이다. 영양분을 모아뒀다가 필요할 때 지방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한다. 지질 방울은 지질 독성 조절, 세포 통신 등 다양한 대사 활동을 한다. 지질 방울의 크기와 총량은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 등 질병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지잘 방울은 체내에서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기능을 연구하는 덴 한계가 있다. 지질 방울의 주요 내용물인 중성 지질에 특이적이고 효과적인 형광 표지 방법이 없어 중성 지질의 성분과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형광 표지에 사용되는 염료는 광화학적 변성으로 형광을 더 이상 내지 못하는 ‘광표백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지질 방울 대사를 긴 시간 충분히 연구하기도 어렵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고 지질 방울의 대사를 장시간‧실시간 관측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자체 개발한 이중 색상 적외선 광열 현미경을 이용해 지질 방울의 공간 분포 및 중성 지질 합성 과정을 관측했다. 이 현미경은 동시에 2개의 적외선 흡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형광 염료를 투입하지 않고도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생체 분자들을 선택적으로 정량하고 추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세포가 과량의 지방산에 노출되면 발생하는 지질 독성에 의해 세포 내 중성 지질 합성이 촉진되는 현상을 확인했다. 또 중성 지질이 합성될 때 나타나는 신호 변화를 바탕으로 개별 지질 방울 속에 존재하는 기존의 중성 지질과 새로 합성된 중성 지질 간의 상대적 비율을 시간에 따라 분석했다.

박찬종 연구원(제1저자)은 “시간에 따른 기존 및 새 지질 간의 상대적 비율 변화를 통해 중성 지질의 합성 속도를 알 수 있다”며 “암, 비만 등 많은 질병이 중성 지질 합성 양상 변화를 수반한다고 알려진 만큼 연구진이 개발한 중성 지질 대사 관측 방법론은 다양한 질병 진단을 위한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조민행 단장은 “지질 방울의 기능에 대해 분자 수준에서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바탕을 마련했다”며 “향후 세포 내 지질 방울이 질환에 어떤 역할을 미치는지 연구해 간 질환을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28일 발간된 국제학술지 ‘케미컬 사이언스’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306
75 [김종승 교수]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플랫폼 개발 file 관리자 2021.09.09 332
74 [조민행, 정광섭 교수] QLED 발광효율 향상 방안 찾았다...IBS, '오제 재결합 현상' 제어 원리 규명 file 관리자 2022.01.05 333
73 [김종승 교수]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선정 관리자 2022.01.14 342
72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351
71 [조민행교수] 양자역학 난제 '상보성 원리' 국내 연구진이 검증했다 관리자 2021.09.02 387
70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수 5명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선정 - 2020.11.20 file 관리자 2021.01.26 445
69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515
68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523
67 [곽경원 교수] 2차원 분광학 연구자 곽경원 교수가 빠진 실험 file 관리자 2021.06.25 574
66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file 관리자 2021.06.25 722
65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관리자 2020.10.14 2037
64 [최동훈 교수] 이종화 교수 등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 관리자 2020.07.30 3320
63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3449
62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관리자 2020.07.30 3627
61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관리자 2020.07.30 3984
60 [故김시중교수]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 기여 과학기술인 12명 선정 - 2019.12.17 file 관리자 2019.12.27 9718
59 [최동훈,이석중,이광렬교수] 신개념 메모리ㆍ광센서 소재 개발 - 2011.06.12. 관리자 2018.11.19 9774
58 [김종승교수] 2019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고려대 교원 7명 선정 - 2019.11.21 file 관리자 2019.12.18 9902
57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