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고려대 연구팀 개발… 기존보다 반도체 특성ㆍ광민감도 뛰어나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도 투명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광메모리용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고려대 최동훈ㆍ이석중ㆍ이광렬 교수(화학과) 연구팀은 기존에 연구되던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에 비해 반도체 특성이 훨씬 우수하면서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나노구조체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유기물질을 이용한 트랜지스터는 기존 실리콘 트랜지스터에 비해 크기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제작이 쉬워 잘 접히거나 투명한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트랜지스터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을 이용한 무기 반도체에 비해 성능과 광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전기ㆍ전자 소재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포피린 환상유도체를 합성해, 기존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용 화합물에 비해 반도체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빛에 민감한 소재를 만들었다. 포피린은 탄소원자 4개와 질소원자 1개를 포함한 피롤(pyrrole) 4개가 4개의 탄소원자로 연결된 거대 고리 화합물이다. 거대고리 가운데 여러 종류의 금속원자를 넣어 특성을 바꿀 수 있어 광전자 등 여러 분야에서 주목받았지만 전하 흐름이 좋지 않아 트랜지스터 소재로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연구팀은 탄소원자 1개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이 전하 이동도가 뛰어나다는 데 착안해 포피린을 평면 분자 구조로 만들었다.


그 결과 기존 무정형 실리콘 트랜지스터보다 전하이동도가 5∼6배 이상 우수하고, 실리콘 기반 광감응 트랜지스터보다 광 민감도가 70배 이상 높은 유기 단결정 트랜지스터를 만들었다. 특히 빛을 쪼이면 매우 높은 광전류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해 기존 단결정 실리콘 계열보다 특성이 뛰어난 광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


최동훈 교수는 "이 연구결과가 유기반도체를 이용한 차세대 전자 및 광전자소자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의 지원 하에 이뤄졌으며,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머티리얼스' 3일자에 게재됐다. 


안경애기자 naturean@ 

[출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21017020115576500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306
75 [김종승 교수]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플랫폼 개발 file 관리자 2021.09.09 332
74 [조민행, 정광섭 교수] QLED 발광효율 향상 방안 찾았다...IBS, '오제 재결합 현상' 제어 원리 규명 file 관리자 2022.01.05 333
73 [김종승 교수]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선정 관리자 2022.01.14 342
72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351
71 [조민행교수] 양자역학 난제 '상보성 원리' 국내 연구진이 검증했다 관리자 2021.09.02 387
70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수 5명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선정 - 2020.11.20 file 관리자 2021.01.26 446
69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515
68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523
67 [곽경원 교수] 2차원 분광학 연구자 곽경원 교수가 빠진 실험 file 관리자 2021.06.25 574
66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file 관리자 2021.06.25 722
65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관리자 2020.10.14 2038
64 [최동훈 교수] 이종화 교수 등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 관리자 2020.07.30 3320
63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3449
62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관리자 2020.07.30 3627
61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관리자 2020.07.30 3984
60 [故김시중교수]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 기여 과학기술인 12명 선정 - 2019.12.17 file 관리자 2019.12.27 9718
59 [최동훈,이석중,이광렬교수] 신개념 메모리ㆍ광센서 소재 개발 - 2011.06.12. 관리자 2018.11.19 9774
58 [김종승교수] 2019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고려대 교원 7명 선정 - 2019.11.21 file 관리자 2019.12.18 9902
57 [이상원교수] 세계화학대회 암 진단 등 '첨단장비 경연장' - 2015.08.12. 관리자 2018.11.20 100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