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49725_52402_1621.jpg

 

김종승 교수

 

 

 

김종승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교수와 한지유 협성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저산소성 암줄기세포 표적 전략을 도입해 암치료의 난제인 재발과 전이를 막기 위한 저분자기반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을 개발했다

기존 항암제는 물질대사가 활발한 암세포사멸을 일으키지만 암줄기세포는 휴면상태로 존재하다가 특정 환경에서 암세포로 분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항암치료로는 사멸이 어려우며 약물내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김종승 교수팀은 암줄기세포가 저산소 환경에서 생존하는 것에 주목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밝혀낸 탄산무수화효소9(Carbonic anhydrase IX)가 암세포 뿐 아니라 저산소의 암줄기세포에 더욱 과발현된 것을 주목해 이에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아세타졸아마이드 유도체를 분자시스템에 도입했다. 이를 통해 정상세포에는 독성을 주지 않고 나노몰(nM) 단위의 낮은 농도로 암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암줄기세포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새롭게 개발한 저산소성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을 유방암 세포주 기반 이종이식 동물 모델에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대비해 종양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암줄기세포능, 전이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본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 개발은 저산소 환경의 암줄기세포를 표적해 암줄기 세포능, 기능을 억제했다. 또한 저농도에서도 탁월한 항암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특별한 독성,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김종승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전달시스템 플랫폼을 통한 암줄기세포 이미징, 사멸 전략을 통해 암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하며 암줄기세포를 매개로 한 재발, 전이성 암치료 약물 전구체 개발에 초석을 다지는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IF=15.419)98(현지시간 기준)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출처 스마트경제(http://www.dailysmart.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8
36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20
35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관리자 2018.11.19 10869
34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79
33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82
32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82
31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53
30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4
29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88
28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099
27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file 관리자 2018.11.20 11102
26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37
25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45
24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54
23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5
22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file 관리자 2018.11.20 11171
21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3
20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16
19 [김준곤 교수] 구리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과정 규명 - 2018.08.06 file 관리자 2018.11.22 11421
18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2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