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박종식 고려대학교 화학과 Post-doc.


p.jpg



 현재 대한민국 교육에서 초, 중, 고등학교, 대학교의 시험 및 심지어 사회에 나아가기 위해 준비하는 고시 및 기타 자격증 준비까지 포함하여 많은 학생들이 시험에 대한 익숙함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어느 정도의 시험범위 안에서 주어진 문제에 대해 풀 수 있는 지식을 학습한 후, 문제를 풀고 이에 대한 최종적인 점수라는 결과물로 현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 우리는 매우 익숙해져 있다. 여기서 우리가 의식적으로 짚고 넘어가야할 두 가지의 포인트는 ‘어느 정도의 범위’ 라는 점과, ‘문제에 대한 해답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지도교수님이 연구하는 범위를 설정해주고 이에 관련되어 기초적인 접근 방법에 대해서 알려주시기는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처음부터 끝가지 본인이 능동적으로 연구의 모든 것을 설계해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오히려 제시한 질문에 관하여 정답이 없는 경우를 발견하는 경우도 많고, 반대로 고려하지 못한 부분이 정답의 실마리가 되는 경우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연구를 수행함에 앞서서 긴 시간동안 우리들의 생활 습관으로 자리 잡았던 익숙한 방식들로는 해결되지 않는 것들이 많아진다. 특히 연구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오히려 시간이 갈수록 공부하면서 깨닫게 된다는 점에 역설이 있다. 어떠한 주제나 개념을 몰라서 이를 찾기 위해서 분주하게 공부하다 보면 해당하는 개념을 공부하면서 또 추가적으로 필요한 지식들이 생기고, 마치 가지치기 하듯이 공부를 할수록 모르는 것이 훨씬 더 많아지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필자가 박사과정기간에 이러한 부분을 지도교수님께 호소하였을 때 지도교수님은 이렇게 대답하셨다. “박사 학위과정 동안에는 모르는 것을 학습해 가는 것이고, 박사학위는 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구나 라고 할 때쯤 받는 것이다.” 이 말은 필자에게 꽤나 큰 충격을 주었는데, 이 문장 속에 앞서 말했던 연구의 두 가지 특징들이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내가 무엇을 모르고 있다’ 라는 점을 통해 역설적이게도 구체적인 범위를 한정 지을 수 있으며, 이처럼 모르는 부분을 박사과정 동안 ‘학습해 나아가는 과정을 배워왔기’ 때문에 오히려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또 다른 역설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필자는 이를 ‘이중적 패러독스’라고 이야기하곤 하는데, 우리들이 한 사람의 겸허한 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은 바로 이 ‘이중적 패러독스’ 에 익숙해져 가는 과정이다.
 앞서 말한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은 연구를 초창기에 겪은 것이 아니라 필자가 한국연구재단의 박사후국내연수 사업을 수행하는 포닥(Post-doc.) 과정이 되어서야 비로소 피부에 와 닿았다. 해당하는 과제 덕분에 나에게 주어진 추가적인 기간 동안 연구에 집중한 결과 새로운 연구 분야도 들여다 볼 수 있었고 연구 커리어의 전반적인 방향성도 잡을 수 있었다. 비록 필자 또한 필자가 속해있는 영역 군에서 긴 시간을 할애하며 연구를 진행 했으나 여전히 모르는 것들이 많다. 훌륭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을 때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할 수 있었을까? 라는 경외심과 동시에 아직도 내가 모르고 있는 것이 많구나 라는 겸손함을 같이 배우게 된다. 모르는 것을 두려워 하지말자. 오히려 모른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이를 통해 학습하고 배울 지식과 태도는 여러분을 훨씬 더 한사람의 연구자로 성장시킬 수 있는 믿음의 재원이 될 것이다.


박종식 고려대학교 화학과 Post-doc.
고려대 화학과에서 무기화학을 전공하며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준안정적 성질을 지니는 다양한 물질 조성 기반의 나노입자를 통한 전기화학 촉매특성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17
35 [최동훈, 이석중, 이광렬교수]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소재 개발 - 2012.10.16. 관리자 2018.11.19 10866
34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76
33 [이상원교수] '내장지방이 당뇨병 키운다'…국내연구진 확인 - 2014.04.01 관리자 2018.11.20 10879
32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79
31 [조민행교수] 고려대,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개소 - 2016.05.19. 관리자 2018.11.21 10947
30 [이광렬교수] 과천과학관 제3회 이공계진로탐구 ‘멘토-멘티 데이’ 개최 - 2013.10.28. 관리자 2018.11.20 11082
29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86
28 [홍창섭교수] 홍창섭 고려대 교수팀, 온실가스 저감 흡착제 개발 - 2014.07.21. 관리자 2018.11.20 11098
27 [진정일교수] 기술이전·특허에서 ‘과학고대 연구력’ 두각 - 2013.05.26. file 관리자 2018.11.20 11099
26 [진정일교수] 휴교에 공부까지 놓을 순 없다…삼천지교, 학습자료 무료 제공하며 인기 - 2015.06.11. file 관리자 2018.11.20 11130
25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40
24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42
23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2
22 [조민행교수] 다차원 분광학 분야서 독보적 성과 - 2013.10.21. file 관리자 2018.11.20 11169
»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2
20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14
19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20
18 [김준곤 교수] 구리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과정 규명 - 2018.08.06 file 관리자 2018.11.22 11420
17 [이광렬교수] 고려대 교수팀, 항암제 전달능력 가진 MRI 조영제 개발 - 2013.05.13. file 관리자 2018.11.19 11465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