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윤효재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홍병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 분자의 ‘열전’ 성능이 그래핀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소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Advanced Materials (IF=30.849)지에 827(현지시간) 실렸다.

열 에너지는 어디에든 존재한다. 태양에서 상당한 열 에너지가 지구로 전달되며 낮과 밤, 계절의 변화를 통해 열과 온도차가 발생한다. 사람의 각종 활동들로 인해서도 열이 발생한다.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사용하는 각종 운송 수단, 설비와 전자 기기들에서도 불가피하게 열이 발생한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전기로 바꿀 수 있다면 친환경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특히 열에너지를 전기로 바꿀 수 있는 ‘열전’ 소재의 개발은 탈탄소 사회 구현은 물론 4차 산업 IoT 전자기기의 에너지원 확보에도 중요하다.

유기 소재를 열전 소자 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무기 소재가 가지는 단점들을 극복하는 노력이 있다. 이러한 유기 열전 연구들은 거의 대부분 불포화 유기분자에 의존한다. 이는 포화 분자와 달리 불포화 분자에서는 전자가 상대적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자들은 절연체 성격을 띄는 포화 분자를 열전 소재 개발에 사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 포화 분자에서는 어떠한 열전 현상이 일어나는지, 그 성능은 어느 정도인지, 작동 메커니즘은 어떤지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윤효재 고려대 교수팀은 포화 탄화수소의 열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지난 몇 년간 연구하고 있다

포화 탄화수소의 제벡계수(Seebeck coefficient)를 측정할 수 있는 액체금속 기반 측정법을 3년 전 개발했다. 올해 초에는 포화 탄화수소에 산소원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키면 초교환 결합(superexchange coupling) 메커니즘을 통해 제벡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윤 교수 연구팀은 홍병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포화 탄화수소 분자 박막(self-assembled monolayer, SAM)을 그래핀(single-layer graphene, SLG) 전극 위에 제작하면 큰 제벡계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포화 탄화수소 분자의 말단에 아민(amine, H2NCn) 고정기(anchor)를 도입해 그래핀 전극의 분자구조를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고밀도의 단분자 박막을 제작했다.

그 결과 아민 고정기와 그래핀 전극 간의 도핑 효과에 의해 계면의 전자구조가 재배열됨을 밝혔다. 그래핀 전극에서의 제벡계수는 기존 단분자 박막 연구에서 널리 쓰이는 금 전극 대비 열전 성능이 월등히 향상됨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포화 탄화수소 분자구조를 활용한 열전 소자 개발의 가능성을 높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개인기초연구사업,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 그리고 산업통상자원부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출처 스마트경제(http://www.dailysmart.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4998
95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112
94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043
93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1934
92 [이상원교수] 증상 없는 ‘조기발병위암’…국내 연구진이 원인 찾았다!(동영상) - 2019.01.14. 관리자 2019.01.15 11906
91 [이광렬교수] 카오스재단, '화학'을 주제로 가을 정기 강연 개최 - 2018.09.19. file 관리자 2018.11.22 11750
90 [이광렬 교수] 고려대-KBSI-UNIST,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극촉매 개발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1731
89 [윤효재 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양애린씨 등 12명에 우수논문상 수상 - 2018.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1723
88 [이광렬교수] 값싸고 효율 30배가량 높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 2018.04.17. file 관리자 2018.11.22 11714
87 [김종승 교수] 노벨상 후보 도전할 만한 韓 연구자는 '40여명' - 2018.05.14. 관리자 2018.11.22 11709
86 [김정은, 정낙철교수] 고국으로 돌아온 '타미플루 히어로' 제2 인생 - 2013.01.13. file 관리자 2018.11.19 11640
85 [조민행, 곽경원 교수] 불타는 스마트폰 작별할까…물로 작동하는 배터리 규명 - 2018.11.21. file 관리자 2018.11.22 11594
84 [정광섭 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올해 사이언스펠로십 32명 선발 - 2018.10.26. file 관리자 2018.11.22 11591
83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1534
82 [김준곤 교수] '주인-손님 전략' 활용해 동물 유래 시알산 분석 - 2018.09.18. file 관리자 2018.11.22 11501
81 [이광렬교수] 나노결정의 아름다움과 쓰임새 - 2015.04.09. 관리자 2018.11.20 11476
80 [이광렬교수] 고려대 교수팀, 항암제 전달능력 가진 MRI 조영제 개발 - 2013.05.13. file 관리자 2018.11.19 11465
79 [김준곤 교수] 구리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과정 규명 - 2018.08.06 file 관리자 2018.11.22 11420
78 [홍창섭교수] CCS 연구성과 '대방출'···"지구온난화 주범 잡는다" - 2017.03.07. file 관리자 2018.11.21 11420
77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