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조회 수 3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글로벌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 전 톰슨 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 이하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2021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Highly Cited Researchers) 명단에 고려대 교수 5명이 이름을 올렸다.

 

 

HCR(Highly Cited Researchers)은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를 뜻하는 단어로 클래리베이트社는 매년 자사의 ‘웹 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를 기반으로 각 분야에서 해당 연도에 가장 많이 인용된 상위 1%의 논문(Highly cited papers)을 기준으로 연구자를 선정한다. 올해로 8년째를 맞이하는 HCR 명단에 포함된 연구자들은 지난 12년 동안 논문의 피인용 횟수를 근거로 세계 각지의 동료 연구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인정을 받아온 연구자들이다.

 

클래리베이트社 발표에 따르면 올해는 전 세계 70여개 국에서 총 6,602명이 글로벌 HCR로 선정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총 47명이 선정됐다.

 

이번에 HCR에 선정된 고려대 교원은 김종승(화학과), 노준홍(건축사회환경공학부), 안춘기(전기전자공학부), 옥용식(환경생태공학부) 교수와 제2소속이 고려대인 Klaus R Muller(인공지능학과) 교수 등 총 5명이다.

 

5명의 교원 모두 최소 3년 이상 변함없이 HCR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특히, 김종승 교수는 2014년 이래 화학 분야에서 8년 연속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노준홍 교수는 크로스 필드(Cross-field) 분야에서 4년 연속 선정됐고, 안춘기 교수는 공학 분야에서 3년 연속 선정됐다. 옥용식 교수는 2018년 크로스 필드 분야에서 HCR에 선정된 후, 2019년 한국인 최초로 환경 및 생태학 분야에서 선정되어 오다가 올해는 공학 분야까지 2개 분야 동시 HCR로 선정됐다. 제 2소속이 고려대인 Klaus R Müller 교수는 크로스필드 분야에 선정됐다.

 

출처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111810520004316


  1.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2.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3. No Image 30Jul
    by 관리자
    2020/07/30 by 관리자
    Views 3451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4. No Image 30Jul
    by 관리자
    2020/07/30 by 관리자
    Views 3321 

    [최동훈 교수] 이종화 교수 등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

  5.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6.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7. [곽경원 교수] 2차원 분광학 연구자 곽경원 교수가 빠진 실험

  8.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9.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10.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수 5명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선정 - 2020.11.20

  11. No Image 02Sep
    by 관리자
    2021/09/02 by 관리자
    Views 396 

    [조민행교수] 양자역학 난제 '상보성 원리' 국내 연구진이 검증했다

  12.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13. [김종승 교수]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선정

  14. [조민행, 정광섭 교수] QLED 발광효율 향상 방안 찾았다...IBS, '오제 재결합 현상' 제어 원리 규명

  15. [김종승 교수]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플랫폼 개발

  16.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17. [조민행 교수] 나노미터 크기 양자점 반도체 성능 저하 새 원인 밝혔다

  18. [이광렬 교수] 수소 생산 고효율 나노촉매 개발

  19. [조민행 교수] 그래핀 두께별 '물 사랑' 바뀐다...IBS, 습윤 특성 분자수준서 관찰

  20. No Image 01Dec
    by 관리자
    2021/12/01 by 관리자
    Views 293 

    [조민행, 곽경원 교수]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핵심 원리 규명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