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한영교수.jpg

 

 

최근 유연한 전자제품이 일상 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더블 휴대전화와 돌돌 말리는 롤러블 티비(TV) 같은 기기들이다. 많은 IT(정보기술) 회사들이 접고 말리는 다양한 전자제품을 개발하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전자기기를 아예 종이처럼 마음대로 접을 수는 없을까. SF 영화에 나오는 장면을 현실에서 구현할 연구가 한창이다. 무엇보다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부품들이 접혀도 부서지지 않고 전기가 잘 통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연구 분야도 전자기기의 핵심 소자나 기판을 연결하는 필름, 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에너지 저장 소자 등 다양하다.

 

◇접히는 부분에 구멍 내 균열 막아

휴대전화나 TV, 웨어러블(착용형) 기기가 휘어지려면 그 안의 전극 같은 부품이 부서지지 않고 유연해야 한다.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조정호 교수와 고려대 우한영 교수 공동 연구진은 “플렉시블(flexible) 스마트 기기의 핵심 소자인 완전히 접을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8일 발표했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를 이용해 전압·전류 흐름을 조절하는 일종의 스위치다. 전극⋅반도체⋅절연체 같은 전자 재료로 구성된 트랜지스터는 접거나 휘어지면 각 재료 사이에 틈이 벌어진다.

연구진은 먼저 유연하고 전기가 통하는 고분자 물질로 트랜지스터를 구성했다. 또 접착제 역할을 하는 화학물질을 사용해 힘을 가해도 서로 다른 성분의 전자 재료 사이가 떨어지지 않도록 붙였다. 조정호 교수는 “접착제는 트랜지스터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손상이나 화학적 손상도 방지한다”고 말했다.

접히는 부분에 구멍을 내 소재를 강화하는 역발상의 방법도 나왔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장재은 교수팀도 지난해 5월 휘거나 접히는 기기에 쓰일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2~3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의 아주 작은 구멍을 전극에 특정한 배열로 형성해 구멍 부분에서만 균열이 일정하게 발생하게끔 유도했다. 이 부분에만 힘을 집중시켜 균열이 퍼지는 것을 제어하는 새로운 구조다. 실험 결과 전극을 30만번 이상 굽혔다 펴도 전극 내 다른 부분에 균열이 가지 않음을 확인했다.

 

◇종이처럼 접는 디스플레이도 가능

유연한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소재도 중요하다. 디스플레이 같은 전자기기는 여러 회로기판을 층층이 겹쳐서 만든다. 포스텍(포항공대)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 연구진은 유연한 전자 소자들을 연결하면서 변형이 가능한 필름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필름은 도전(導電) 필름이다. 전기가 통하는 금속 입자들이 들어 있다. 필름은 두께 방향으로는 전기가 흐르지만 수평 면 방향으로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 회로 사이에 이런 필름을 넣어 연결하는 것이다. 기존 필름과 달리 고무 성분으로 제작해 훨씬 더 유연하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특히 섭씨 80도의 저온 열처리를 10분만 해도 전기적·물리적 연결이 가능했다. 기존에는 200도 이상 고온이 필요해 약한 소재는 변형이 불가피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종이처럼 접어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디스플레이가 실현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한다. 정운룡 교수는 “이 필름을 이용하면 미래에 더 복잡한 구조의 소자들도 쉽게 연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접는 전자기기를 만들려면 기기를 작동하는 데 필수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도 유연해야 한다.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이성원 교수팀은 “얇고 유연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 그래핀과 금속산화물을 접합해 에너지 저장 소자인 수퍼 커패시터를 제작했다. 수퍼 커패시터는 총 두께가 30마이크로미터다. 수퍼 커패시터는 접어 사용하더라도 펼쳤을 때와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지녔다. 이는 웨어러블 제품의 에너지 소자로 피부에 부착되더라도 자유로운 움직임 속에서 특성의 변화 없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또한 1000번의 충전과 방전을 시행해도 거의 동일한 저장 용량을 유지했다. 이성원 교수는 “현재 다른 상용 배터리보다 다소 낮은 총 에너지 저장 용량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출처 : 한국경재(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1/08/26/BIEJLKIU4BCLZF2XFG7JSC3KJ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김준곤 교수] 인천창업카페 명사 힐링 특강 [ 먹고 마시는 모든것] 관리자 2021.11.05 246
75 [김준곤 교수] 점 돌연변이를 활용,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하는 데 성공 관리자 2022.05.16 212
74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48
73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4
72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514
71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2
70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3449
»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351
68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522
67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1534
66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045
65 [윤효재 교수] 세계 최초 절연 분자 이용 열에너지 전기 변환 신소재 개발 가능 발견 관리자 2021.09.02 284
64 [윤효재 교수] 유기금속 분자사슬의 높은 지벡계수 메커니즘 규명 관리자 2024.03.11 24
63 [윤효재 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양애린씨 등 12명에 우수논문상 수상 - 2018.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1724
62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5001
61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1
60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4
59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1934
58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115
57 [이광렬 교수] 게으른 자를 위한 수상한 화학책 관리자 2024.04.02 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