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연구팀 "알파-시누클린·구리 응집체, 신경세포로 쉽게 유입"


사진.jpg

(A) 구리 이온은 알파-시누클린 N-말단과 히스티딘 잔기를 통해 결합해 거대고리 구조를 만든다.

(B) 구리 이온이 알파-시누클린과 함께 작용하는 조건에서 단백질 섬유 길이는 짧아진다.

(C·D) 거대고리 구조는 알파-시누클린 단량체 사이 상호작용으로 핵 형성을 촉진하지만, 구조적 변형이 제한돼 신장을 방해한다.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한국연구재단은 김준곤 고려대 교수·이민재 서울대 교수 연구팀이 뇌 속 구리 이온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 원리를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파킨슨병은 퇴행성 뇌 질환의 하나다.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면서 몸의 움직임이 둔해지는 운동 장애가 발생한다.


 뇌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이 응집된 뒤 신경세포에 유입되면서 독성을 일으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알파-시누클린 응집이 잘 발생하는 뇌의 흑질 부분에 구리 이온이 다른 부분보다 많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자구조 연구와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 등을 다각적으로 진행했다.


사진1.jpg

(A∼C) 구리 이온에 의해 생긴 짧은 알파-시누클린 섬유(녹색)가, 긴 형태의 섬유보다 세포에 더 많이 전달된다

.(D·E) 전달된 알파-시누클린 섬유가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한다.(F) 짧은 알파-시누클린 섬유 형성과정과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연구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는 알파-시누클린 단량체가 결합해 섬유 핵을 형성한다.


여기에 다른 단량체가 이어지면서 긴 섬유 형태를 이룬다.


반면에 구리 이온이 알파-시누클린 단량체와 합쳐지면 거대고리 구조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구조적인 뒤틀림 때문에 길게 자라지 못하고 짧은 섬유가 형성된다.


짧은 알파-시누클린·구리 응집체는 신경세포 안으로 쉽게 유입된다.


그 결과 정상적인 세포 기능을 방해해 신경독성을 유발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의 다양한 응집체 중에서 구리 이온과 결합한 응집체가 강한 신경독성을 일으키는 과정을 확인한 건 연구팀이 처음이다.


연구팀 관계자는 "구리 이온이 파킨슨병 원인 물질을 발생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자와 세포 수준으로 밝혀낸 것"이라며 "세포의 금속이온 항상성을 조절하는 퇴행성 뇌 질환 치료 방법 연구에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2.jpg

왼쪽부터 고려대 김준곤 교수, 서울대 이민재 교수, 고려대 최태수 연구조교수(논문 제1저자)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대학 중점연구소지원사업 등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앙게반테 케미(Angewante Chemie) 지난달 16일 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walden@yna.co.kr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180309144000063


<관련기사>


구리 이온이 파킨슨병 원인 물질 발생

[출처]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14914&code=11132000&cp=nv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김준곤 교수] 인천창업카페 명사 힐링 특강 [ 먹고 마시는 모든것] 관리자 2021.11.05 246
75 [김준곤 교수] 점 돌연변이를 활용,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독성을 완화하는 데 성공 관리자 2022.05.16 206
74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141
» [김준곤교수]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 2018.03.11. file 관리자 2018.11.22 10814
72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509
71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172
70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3448
69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350
68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521
67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1534
66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043
65 [윤효재 교수] 세계 최초 절연 분자 이용 열에너지 전기 변환 신소재 개발 가능 발견 관리자 2021.09.02 281
64 [윤효재 교수] 유기금속 분자사슬의 높은 지벡계수 메커니즘 규명 관리자 2024.03.11 19
63 [윤효재 교수] 한국다우케미칼, 양애린씨 등 12명에 우수논문상 수상 - 2018.04.20. file 관리자 2018.11.22 11721
62 [윤효재교수]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치료 등 상반기 31개 지원과제 선정 - 2018.04.05. 관리자 2018.11.22 14998
61 [윤효재교수] 세계화학대회서 ‘젊은 화학자상’ 윤효재 고려대 교수 - 2015.08.11. file 관리자 2018.11.20 10051
60 [윤효재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청암 사이언스 펠로' 31명 증서 수여 - 2015.09.20. 관리자 2018.11.20 10014
59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1934
58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112
57 [이광렬 교수] 게으른 자를 위한 수상한 화학책 관리자 2024.04.02 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