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자가 말하다_『게으른 자를 위한 수상한 화학책』 이광렬 지음 | 블랙피쉬 | 284쪽
 

과학의 쓸모 알게 되며 게으름 부릴 시간을 확보
과학의 생활화로 합리적 사고방식이 일상이 되길

정자가 난자를 만나는 우리 생명의 첫 순간부터 우리는 산과 염기의 작용이라는 화학적인 현상을 겪게 된다. 우리 세포를 이루는 그 어떤 물질도 화합물이 아닌 것이 없으며 생명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모든 작용도 화학반응에 기반한다. 우리의 생명 그 자체가 화학이므로 ‘케모포비아’가 판을 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무서운 화합물’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생명이 멈출 수 있다는 것을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알 테니까 말이다. 

 

‘화합물’에 대한 광범위하고 지나친 공포는 우리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데 하등의 도움이 안 된다. 그러나 돈을 좇는 기업들은 공포를 더욱 조장하여 ‘케모포비아’가 더 확산되게 하여 새로운 시장을 만든다. 비타민이 천연이든 인공이든 같은 비타민일 뿐이나 ‘천연 원료’를 강조해 사람들의 주머니를 터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뒤지다 보면 ‘생활의 꿀팁’·‘천연’·‘건강의 비결’ 등과 같은 사람들을 혹하게 만드는 문구가 넘쳐난다. 그러나 이러한 선동 문구의 대부분이 근거 없는 ‘카더라’에 기반하고 있고 심지어 따라 하면 위험에 빠지게 되는 행위도 많다. 이런 문제들의 심각성을 깨닫고 일반 대중에게 보다 합리적인 사고를 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화학 창문’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이를 위해 2022년부터 네이버 프리미엄 파트너 채널 「모두를 위한 화학」을 개설하여 1만6천 명이 넘는 구독자와 화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다양한 교육 수준, 성별, 연령대의 독자들이 직접 질문하는 생활 속 다양한 크고 작은 문제를 화학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신뢰를 쌓을 수 있었는데, 이 지속적인 소통과 신뢰가 바로 채널이 짧은 시간 내에 급속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이다. 이제는 많은 구독자가 ‘우리의 삶 그 자체가 모두 화학적인 것이며 화학, 더 나아가 과학 지식이 많은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는 것을 진심으로 받아들이고 과학의 생활화를 실천하기 시작했다. 즉 비과학적인 ‘케모포비아’를 떨쳐내고 화학의 지식을 생활에 접목시키기 시작하였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 시절 아내와 집안 살림을 같이 하면서 많은 화학적 살림살이 꼼수를 개발하고 이를 네이버 채널에 공개했는데, 엄청난 독자 유입과 호응이 생겨났다. 네이버 채널의 「게으른 자를 위한 화학」 시리즈는 살림살이에 숨어 있는 다양한 화학 원리를 설명하고 살림살이에 쓰는 시간을 줄이고 그 시간을 보다 보람찬 일에 쓰라고 역설한다. 특히 30~50대 여성들의 이 시리즈에 대한 관심도가 아주 높았으며 이들이 표하는 고마움의 정도가 내가 화학적 꼼수를 계속 개발하고 공유한 원동력이 됐다. 

또한 이들은 자녀 교육에도 아주 열성적이었는데 이들의 자녀 양육을 돕고자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글을 썼으며 이를 통해 이들의 삶의 방향이 바뀌는 것을 바라보면서 교육자로서 큰 기쁨을 느낄 수 있었다. 네이버 구독자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었던 지식을 네이버 밖의 세상의 사람들에게도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 든 것과 출판사의 출판 제의에 승낙을 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게으른 자를 위한 수상한 화학책』은 몇 가지 목적을 동시에 이루기 위하여 쓰인 책이다. 첫째, 살림살이에 들어가는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여 사람들에게 게으름을 부릴 수 있는 시간을 선물한다. 둘째, 일상에 화학적 사고를 끼워 넣는 것이 유용함을 보여 일반 대중이 과학의 쓸모를 알게 한다. 셋째, 미래 세대의 과학 교육이 각 가정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즉 부모의 과학적 생활 방식과 사고방식이 아이들에게 전달이 되게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과학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한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네이버 채널을 운영하면서 체득한 ‘일상적인 대화법’을 책에 그대로 사용해 초등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그리고 배울 것이 있도록 책을 구성했다. 부엌의 한편에, 화장실 안에, 아이의 책상 위 등 다양한 곳에서 이 책이 발견이 될 수 있고 책을 손에 쥔 누구든 새로운 ‘화학적 관점’이 생기고 그분들의 삶이 편리해지기를 기대하면서 책을 만들었다.   

흥미롭게도 책이 이제 갓 발간됐음에도 대만의 대형 출판사에서 연락이 와서 판권 계약 중이며 태국 등지에서도 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책이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을 얼마나 바꾸어 놓을지 또한 어디까지 글로벌 진출을 할지 자못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이광렬
고려대 화학과 교수


출처 : 교수신문(http://www.kyosu.ne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 [故김시중교수]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 기여 과학기술인 12명 선정 - 2019.12.17 file 관리자 2019.12.27 9721
99 [곽경원 교수] 2차원 분광학 연구자 곽경원 교수가 빠진 실험 file 관리자 2021.06.25 594
98 [김정은, 정낙철교수] 고국으로 돌아온 '타미플루 히어로' 제2 인생 - 2013.01.13. file 관리자 2018.11.19 11646
97 [김종승 교수]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선정 관리자 2022.01.14 353
96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수 5명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선정 - 2020.11.20 file 관리자 2021.01.26 451
95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에 심경호-김종승-신철 교수 - 2016.12.29. 관리자 2018.11.21 10591
94 [김종승 교수] 노벨상 후보 도전할 만한 韓 연구자는 '40여명' - 2018.05.14. 관리자 2018.11.22 11718
93 [김종승 교수]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플랫폼 개발 file 관리자 2021.09.09 341
92 [김종승교수] 2019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고려대 교원 7명 선정 - 2019.11.21 file 관리자 2019.12.18 9905
91 [김종승교수] 3월의 과학기술자상`에 김종승 고려대 교수 - 2013.03.06. 관리자 2018.11.19 11147
90 [김종승교수] 고려대 ‘인성스타연구자상’ 노준홍-김종승교수 첫 수상 - 2019.09.23 file 관리자 2019.12.18 10017
89 [김종승교수] 김종승·이서구·박주현 교수 등 '2013 지식창조 대상' 수상 -2013.11.28. file 관리자 2018.11.20 11092
88 [김종승교수] 빛으로 암세포만 표적 치료···광역학치료제 개발 - 2017.06.18. file 관리자 2018.11.22 10580
87 [김종승교수] 세계 영향력 있는 연구자 1%…韓 28명 명단에 올라 - 2017.11.15. 관리자 2018.11.22 10883
86 [김종승교수] 암세포만 공격하는 물질 개발 - 2014.12.23 file 관리자 2018.11.20 11167
85 [김종승교수] 제31회 인촌상 수상자에 김형석·이상섭 교수 등 선정 - 2017.09.04. file 관리자 2018.11.22 10822
84 [김종승교수] 환자 맞춤형 암 진단ㆍ치료 전구약물 개발 - 2014.03.24. 관리자 2018.11.20 11220
83 [김준곤 교수] '주인-손님 전략' 활용해 동물 유래 시알산 분석 - 2018.09.18. file 관리자 2018.11.22 11513
82 [김준곤 교수] 구리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과정 규명 - 2018.08.06 file 관리자 2018.11.22 11425
81 [김준곤 교수] 이 젊은 과학자들, 대한민국의 미래를 연다 - 2016.11.24. file 관리자 2018.11.21 1088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