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31968_136730_4849.jpg

(왼쪽부터) 김종승, 옥용식, 안춘기, 노준홍, 클라우스 뮬러 교수. 사진=고려대 제공

 

 

[대학저널 장원주 기자] 고려대는 글로벌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전 톰슨 로이터 지적재산 및 과학분야 사업부, 이하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2020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HCR) 명단에 고려대 교수 5명이 이름을 올렸다고 20일 밝혔다.

 

HCR은 논문의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를 뜻하는 단어로 클래리베이트는 매년 자사의 ‘웹 오브 사이언스’를 기반으로 각 분야에서 해당 연도에 가장 많이 인용된 상위 1%의 논문을 기준으로 연구자를 선정한다. 올해로 7년째를 맞이하는 HCR 명단에 포함된 연구자들은 지난 11년 동안 논문의 피인용 횟수를 근거로 세계 각지의 동료 연구자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인정을 받아온 연구자들이다.

 

클래리베이트 발표에 따르면 올해는 전세계 60여개국에서 총 6167명이 글로벌 HCR로 선정됐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총 46명이 선정됐다. 

 

이번에 HCR에 선정된 고려대 교원은 김종승(화학과), 노준홍(건축사회환경공학부), 안춘기(전기전자공학부), 옥용식(환경생태공학부) 교수와 제2소속이 고려대인 클라우스 뮬러(뇌공학과) 교수 총 5명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선정됐다.

 

김 교수는 2014년 이후부터 화학분야에서 매년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자로 선정되며 7년 연속 선정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노준홍, 물러 교수는 ‘크로스 필드(다른 여러 분야 연구자에게 높은 영향력을 준 연구자’, 안 교수는 공학, 옥 교수는 환경 및 생태학 분야에 선정됐다.

 

김 교수는 '저분자를 이용한 차세대 표적지향형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그동안 450여편의 논문을 발간해 총 인용수가 3만6000회에 이르며 높은 H-지수(index)=101(구글 학술검색(Google Scholar))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70여건의 국내외 특허를 등록하는 등 해당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김 교수팀은 암세포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전달 시스템 '약물전달기술(DDS)'를 연구 개발하고 20여년간 부작용 없는 항암약물전달시스템 개발에 매진했다. 아울러 낮은 암세포 표적 사멸을 개선하기 위해서 표적항암치료물질을 개발했고 이 물질로 암치료에 부작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었으며 약물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노 교수는 재생에너지 관련 차세대 태양전지 분야를 연구해오고 있다. 최근 할로겐화물 태양전지 연구로 주목을 받고 있다. 노 교수의 기술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돼 2013년 사이언스지(誌) 선정 세계 10대 breakthrough(중대성과) 기술로 선정됐으며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포럼) 선정 Top 10 Emerging Technology(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 노 교수는 100여편의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 논문 게재를 비롯해 최근 5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국내외 특허 등록 등 해당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안 교수는 독창적인 수학적 방법을 활용해 지능제어 및 자율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이를 전기/전자/기계/항공/우주/컴퓨터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융합, 활용해 현존하는 미해결 난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지능제어 및 자동화 연구를 전 세계적으로 선도해 이 분야 최상위 저널에 최근 5년간 170편 이상의 중요한 업적을 지속적으로 발표해 새로운 융합 연구를 개척했다. 2016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젊은 교수 연구 질적가’에서 ‘전기/전자공학분야 1위’로 선정됐고 2017년에는 다차원 및 지능 제어를 개척한 공로로 정부에서 수여하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안 교수는 지능제어 및 지능시스템 분야의 세계최고 저널인 IEEE TNNLS, IEEE TFS, IEEE TSMCS, IEEE TASE, IEEE SMCM 등의 편집위원이며 지능제어 분야의 세계최고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옥 교수는 유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UN SDGs) 달성을 위한 기후환경에너지 융합기술 연구를 해오고 있다. 2019년 한해 무려 30편의 고인용논문(Highly Cited Paper)을 발표하는 등 현재 총 85편의 고피인용 논문(HCP )및 가장 주목 받는 논문(Hot Paper)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미국 스탠포드대 윌리엄 미치 교수와 함께 환태평양대학협회 지속가능폐기물관리 프로그램의 총괄책임자로 활동하며 플라스틱 오염 등 인류 난제 해결을 위한 대규모 연구를 총괄하고 있다. 그는 2019년 한국인 최초로 환경생태 분야에서 HCR 선정 이후 국내 대학 최초로 네이처 컨퍼런스 한국 유치를 이끌며 내년 10월 네이처 3대 저널의 총괄편집위원장과 네이처 컨퍼런스를 주관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환경부장관 표창(201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표창(2019년) 등의 수상 기록이 있다.

 

뮬러 교수는 고려대 초빙 해외석학으로 머신러닝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에서 유명하다. Support Vector Machines(2진 분류용) 및 커널(kernel, 기계학습에서 데이터간 유사성을 정량화하는 함수) 방법과 Neural Networks(신경망)를 포함해 머신러닝의 여러 주요 이슈에 광범위하게 기여했다. 더불어 뇌 손상으로 발생하는 감금 증후군(Lock-in syndrome)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위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같은 영역에서 새로운 패턴 인식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개척했다. 현재 연구 관심 분야는 생체 의학 데이터 분석(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게놈 데이터 분석, 의료 데이터 마이닝), 원자 적 시뮬레이션 및 계산 화학과 같은 영역에 시계열 분석 및 기계 학습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처럼 고려대가 꾸준히 HCR에 다수의 교원의 이름을 올릴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은 우수한 연구자들을 인정해주고 다양하게 지원해주는 분위기와 환경을 들 수 있다. 고려대는 안정적인 연구환경 위에 창의와 혁신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건강한 연구 생태계를 만들고자 노력해왔다. 대표적인 연구지원 프로그램으로 석탑연구상, 석탑기술상, 인성스타연구상, 인성스타연구기금이 있다. 

 

석탑연구상은 탁월한 연구 성과로 업적을 쌓은 교원을 널리 알리고 포상해 연구의욕을 향상시키고 장려하고자 2016년부터 제정해 수여하고 있다. 기술이전 분야 및 산학협동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실적을 달성한 연구자를 발굴해 포상하는 석탑기술상도 2009년부터 수여하고 있다.

 

고려대는 2019년 인성스타연구기금이 마련되면서 인성스타연구상도 제정됐다. 인성스타연구상은 본교 전임교원 중 노벨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있는 우수한 교원에게 포상하고 하는 제도로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연구자의 연구의욕을 고취해 연구를 장려하는 문화를 형성하고자 도입한 것이다.  

 

고려대는 ▲HCR(세계 상위 1% 연구자 선정자) ▲세계 최고 학술지 논문 게재자 ▲한국연구재단 등의 올해의 노벨상 수상 유력자 등 우수 연구자 추천 ▲학술논문 정량평가 상위 연구자 ▲해당년도 스타연구자 등 우수한 업적을 가진 교원을 대상으로 교내 연구정보분석센터 업적 분석을 통해 인성스타연구상 후보자를 선정한다.

 

출처 : 대학저널(http://www.dhnew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김종승 교수] 2021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선정 관리자 2022.01.14 1032
83 [조민행, 정광섭 교수] QLED 발광효율 향상 방안 찾았다...IBS, '오제 재결합 현상' 제어 원리 규명 file 관리자 2022.01.05 1088
82 [이광렬 교수] 수소 생산 고효율 나노촉매 개발 file 관리자 2021.12.07 987
81 [조민행, 곽경원 교수] 수계 전해질 리튬이온전지 핵심 원리 규명 관리자 2021.12.01 997
80 [김준곤 교수] 인천창업카페 명사 힐링 특강 [ 먹고 마시는 모든것] 관리자 2021.11.05 1031
79 [정광섭 교수] 눈에 보이지 않는 빛 내는 저독성 양자점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1122
78 [이광렬 교수] 탄소중립 수소연료 생산 위한 고성능·반영구 전극 촉매 개발 file 관리자 2021.10.06 1151
77 [김종승 교수] 암줄기세포 표적 약물 전달 시스템 플랫폼 개발 file 관리자 2021.09.09 1101
76 [우한영 교수] 트랜지스터·에너지 저장소자… 전자기기 부품도 휘고 접힌다. file 관리자 2021.09.06 1073
75 [윤효재 교수] 세계 최초 절연 분자 이용 열에너지 전기 변환 신소재 개발 가능 발견 관리자 2021.09.02 1098
74 [조민행 교수] Interview for Physics World file 관리자 2021.09.02 1010
73 [조민행교수] 양자역학 난제 '상보성 원리' 국내 연구진이 검증했다 관리자 2021.09.02 1324
72 [조민행 교수] 나노미터 크기 양자점 반도체 성능 저하 새 원인 밝혔다 file 관리자 2021.06.25 947
71 [조민행 교수] 빛으로 생명현상의 신비 들여다보는 다차원 분광학 개척자 file 관리자 2021.06.25 1471
70 [조민행 교수] 그래핀 두께별 '물 사랑' 바뀐다...IBS, 습윤 특성 분자수준서 관찰 file 관리자 2021.06.25 1002
69 [박성남 교수] AI로 미래 디스플레이소자 특성 6.3만배 빨리 예측한다 file 관리자 2021.06.25 1224
68 [곽경원 교수] 2차원 분광학 연구자 곽경원 교수가 빠진 실험 file 관리자 2021.06.25 1239
67 [윤효재 교수] 고려대 윤효재 교수팀, 포화 탄화수소에서 열전 성능 향상 세계 최초 발견 - 2020.12.08 file 관리자 2021.01.26 1156
» [김종승 교수] 고려대 교수 5명 '2020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선정 - 2020.11.20 file 관리자 2021.01.26 1089
65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관리자 2020.10.14 280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