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Chem in Medi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윤효재 교수팀,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세계 최초 대면적 junction 기반의 분자 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사진.jpg


 이과대학 화학과 윤효재 교수 연구팀은 액체금속 EGaIn (Eutectic Gallium-Indium)을 이용하여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을 구축해, 단분자층(self-assembled monolayer, SAM)의 열전 성능을 보여주는 Seebeck coefficient를 고수율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나노소재기술 개발사업, 도전형소재기술 개발프로그램)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는 재료/나노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중 하나인 나노레터스 (Nano Letters, impact factor : 12.712) 11월 13일자에 게재됐다.


※ 논문명 : A New Approach for Large-Area Thermoelectric Junctions with Liquid Eutectic Gallium-Indium Electrode
※ 저자 정보 : 박소현 (고려대학교, 제1저자), 윤효재 (고려대학교, 교신저자) 총 2명


 이 연구결과는 열전 및 분자전자학 분야에서 새로운 대면적 (~μm2) 기반의 분자 단위 열전시스템 구축을 처음 제시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 논문으로 평가받는다.


 연구팀은 갈륨-인듐 합금의 액체금속과 단분자층의 접합이 상온에서 제작 가능하며 극도로 얇은 단분자층(SAM)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유기분자 단분자층의 Seebeck coefficient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단분자 혹은 단분자층에서의 열전 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도전적인 연구주제이다. 특히, 분자를 손상시키지 않고 열전 소자를 제작하고 열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다. 기존의 기술들은 고가의 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및 AFM (Atomic Force MIcroscope) 장비에 의존한 단분자 정션에 기반을 두거나, 레이저를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비들을 쓰지 않으면서 분자 수준에서 대면적 열전 측정이 가능한 분석법을 세계 최초로 제시하였다. 본 기술은 단분자층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높은 신뢰성으로 많은 데이터들을 짧은 시간 안에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기술을 통하여 다양한 분자 구조들에 대한 대면적 열전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향후 원자 단위의 구조-열전 연관성에 대한 기초연구는 물론, 고효율의 유기 열전 소재 개발에도 큰 파급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커뮤니케이션팀 서민경(smk920@korea.ac.kr)

[출처] - https://www.korea.ac.kr/user/boardList.do?boardId=474633&siteId=university&page=1&search=&column=&boardType=02&listType=&id=university_060108000000&parent=&boardSeq=484217&command=albumView&chkBoxSeq=&chkBoxId=&chkBoxPos=&chkBoxDepth=&chkBoxFamSeq=&warningYn=N&categoryId=&categoryDepth=&totalYn=&searchDate1=&searchDate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진정일 명예교수]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인 최초 IUPAC 명예석학회원 추대 관리자 2020.10.14 2800
64 [최동훈 교수] 이종화 교수 등 고려대 교우회 학술상 관리자 2020.07.30 3875
63 [정광섭교수] 고려대학교 화학과 정광섭 교수, 경상대 김주영 교수팀과 나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게재 관리자 2020.07.30 4635
62 [이석중교수] 고려대, (주)보노톡스와 협약식 관리자 2020.07.30 4262
61 [심상희교수]민물장어에서 나온 형광단백질로 세포 속 구조 관찰시간 8배 늘렸다 관리자 2020.07.30 4014
60 [故김시중교수]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 기여 과학기술인 12명 선정 - 2019.12.17 file 관리자 2019.12.27 10292
59 [김종승교수] 2019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연구자, 고려대 교원 7명 선정 - 2019.11.21 file 관리자 2019.12.18 10450
58 [이상원교수] 혈액검사로 치매 예측한다…국내 대학 연구진 개발 - 2019.09.30. file 관리자 2019.12.18 10691
57 [김종승교수] 고려대 ‘인성스타연구자상’ 노준홍-김종승교수 첫 수상 - 2019.09.23 file 관리자 2019.12.18 10573
56 [박종식박사/지도교수 이광렬] 이중적 패러독스의 익숙함 - 2019.05.13. file 관리자 2019.05.14 11619
55 [김준곤, 이상원교수] 주기율표의 역사 및 원소의 성질 - 2018.03.28. file 관리자 2019.03.29 11647
54 [이상원교수] 증상 없는 ‘조기발병위암’…국내 연구진이 원인 찾았다!(동영상) - 2019.01.14. 관리자 2019.01.15 12413
53 [윤효재 교수] 고려대, 신규 다이오드 분자 개발 가능성 제시 - 2018.12.31. file 관리자 2019.01.02 12027
52 [이광렬 교수] KBSI 서울센터 분석 장비는 우리 연구의 날개 - 2018.12.7. file 관리자 2018.12.11 12669
51 [조민행, 곽경원 교수] 불타는 스마트폰 작별할까…물로 작동하는 배터리 규명 - 2018.11.21. file 관리자 2018.11.22 12123
50 [이광렬 교수] 고려대-KBSI-UNIST, 수소 생산을 위한 고성능 전극촉매 개발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190
» [윤효재 교수] 새로운 분자단위 열전 측정 시스템 구축 연구 나노레터스 게재 - 2018.11.13. file 관리자 2018.11.22 12585
48 [정광섭 교수] 포스코청암재단, 올해 사이언스펠로십 32명 선발 - 2018.10.26. file 관리자 2018.11.22 12115
47 [이광렬 교수] "나노, 모험심을 가지고 연구하다"(동영상) - 2018.10.18. file 관리자 2018.11.22 12484
46 [이광렬교수] 카오스재단, '화학'을 주제로 가을 정기 강연 개최 - 2018.09.19. file 관리자 2018.11.22 12224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 6 Next
/ 6